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만든 글로벌 블록체인연구소 람다(lambda)256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대중화를 위해 '두나무블록체인서비스(DBS)'를 구축하고 내년 정식 서비스에 들어간다. 이 플랫폼을 통해 스타트업 등이 손쉽게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만들고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박재현 람다256 연구소장은 지난 7일 서울 역삼동 마이크임팩트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향후 1~2년 내에 산업을 주도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가려질 것"이라며 이같은 청사진을 제시했다.
앞서 두나무는 지난달 람다256 설립을 발표하고 박재현 소장을 영입했다. 개발자 출신의 박 소장은 삼성전자에서 결제 서비스 '삼성페이' 개발, SK텔레콤에서 재능공유 플랫폼 '히든' 개발 등을 주도한 바 있다.
박 소장이 이끄는 람다256은 블록체인 기술 저변 확대 및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람다256은 블록체인 기술 대중화,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블록체인 기술 업체 발굴과 육성, 암호화폐 경제 모델 지원 및 신규 모델 개발 등에 역량을 집중해 글로벌 연구소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람다256은 우선 6월 중 블록체인 관련 요소 기술 및 도메인 기술을 갖고 있는 업체를 대상으로 '파트너스 프로그램'을 공개한다. 이어 3분기에는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과 DBS 체인서비스 테스트넷 개설을, 4분기에는 DBS 베타서비스 개설을 이어간다. 이를 바탕으로 내년 1분기 DBS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박 소장은 현재의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시장은 여러 문제점들을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폐 심한 가격변동성, ICO(암호화폐공개) 버블, 스캠(사기 코인),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데이터 크기 증가 및 성능 등이 문제라는 것. 특히 최근 발생한 비트코인골드(BTC)와 버지(XVG) 해킹 사례를 언급하며 기술적 측면에서 POW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블록체인 채굴이 강력한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막대한 전기 자원을 소비한다는 것과 암호화폐 거래비용과 시간이 갈수록 늘어난다는 것도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