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코인 빅데이터] 9월 '빅2' 전망도 먹구름?...비트코인(BTC) vs 이더리움(ETH) 트렌드

고다솔 기자 | 기사입력 2022/09/01 [13:16]

[코인 빅데이터] 9월 '빅2' 전망도 먹구름?...비트코인(BTC) vs 이더리움(ETH) 트렌드

고다솔 기자 | 입력 : 2022/09/01 [13:16]


시총 1위 암호화폐 비트코인(Bitcoin, BTC)이 상승세를 기록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했다. 미국의 긴축 우려 때문에 2만 달러 선이 일시적으로 하락하기도 했으며, 일각에서는 1만 5,000달러 선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톱 알트코인 이더리움(Ethereum, ETH)은 머지 업그레이드 기대로 지난 한 달 동안 상승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긴축 우려에 하락세를 기록하기도 했다.

 

※ 관련 기사: 비트코인 2만달러선 회복했지만..."BTC 장기 모멘텀 상실, 1만5천달러까지 하락 전망"

※ 관련 기사: 이더리움 8월, 머지에 웃고 긴축에 울고...9월 지분증명 전환 기대감 여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 출처: 썸트렌드


비트코인 vs 이더리움, 언급량 추이는?

8월 25일부터 8월 31일까지 일주일간 비트코인은 5,427회, 이더리움은 2,515회 언급됐다. 지난 일주일 중 비트코인의 언급량이 급증한 8월 29일, 미국의 긴축 우려 영향으로 비트코인의 2만 달러 선이 붕괴됐다.

 

※ 관련 기사: 비트코인, 최악의 8월 성적표 받나..."암호화폐, 장기간 위축 전망"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비트코인 vs 이더리움, 이미지와 주요 감성어는?

비트코인의 이미지는 긍정 48%, 부정 49%, 중립 3%로, 중립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무료’, ‘회복하다’, ‘좋다’, ‘강세’, ‘만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공포’, ‘어렵다’, ‘매수하다’, ‘공격적’, ‘우려’, ‘망하다’, ‘급락’, ‘고통’ 등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이더리움의 이미지는 긍정 29%, 부정 61%, 중립 10%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회복하다’, ‘보상’, ‘매력적’, ‘만족’, ‘1위’, ‘좋다’가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멀다’, ‘공격적’, ‘폭락’, ‘혼란’, ‘공포’, ‘손실’, ‘고통’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요금 청구되다’와 ‘충격적’이 있다.

 

비트코인·이더리움 관련 주요 이슈

블록체인 전문 뉴스 웹사이트 디크립트는 데이터 분석 웹사이트 BTC닷컴을 인용, 비트코인의 채굴 난이도가 2주 사이에 9.26%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BTC닷컴은 현재 비트코인의 채굴 난이도가 올해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해시레이트는 230EH/s를 돌파했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연구 기업 델피 디지털(Delphi Digital)은 “8월 26일, 시장 전반의 붕괴 이후 비트코인의 무기한 선물 계약 미결제약정 레버리지 비율(Futures Open Interest Leverage Ratio)이 비트코인 시가총액보다 3%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시장 압박 위험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라고 전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는 비트코인이 8월 29일 하락세에서 회복했으나 여전히 50일 지수이동평균선(EMA)보다 11% 낮다고 전했다. 이어서 이더리움은 20일 이동평균선(MA)와 비교했을 때, 평균 거래량이 3% 증가했다고 언급했다. 다만, 이더리움의 시세는 50일 EMA보다 5% 낮다.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이더리움이 달러화 대비 전형적인 강세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이더리움과 달러화의 거래쌍은 ‘하락 쐐기(falling wedge)’ 패턴을 형성하면서 수익 목표는 이더리움 시세 대비 30% 높은 수준으로 확인됐다.

 

블록체인 뉴스 미디어 데일리호들은 ‘Rekt’라는 가명을 사용하는 암호화폐 애널리스트를 인용, “이러디움이 현재 1,500달러 선 이상으로 간신히 지지선을 유지하고 있으나 반등 후 하락세를 기록할 것”이라고 주장한 사실을 보도했다.

 

Rekt는 이더리움이 1,500~1,800달러 사이에서 거래되더라도 황소 세력의 반응이 지난해처럼 강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반면, 또 다른 애널리스트 마이클 반 데 포프(Michaël van de Poppe)는 9월 6일(현지 시각) 진행될 이더리움 포크가 상승세의 촉매제 역할을 해, 1,8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비트코인·이더리움, 오늘의 시세는?

9월 1일 오후 12시 41분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의 시세는 전일 대비 1.42% 하락한 2만 125.74달러이며, 이더리움의 시세는 3.33% 하락한 1,555.98달러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리플 CEO, X에 트럼프와 찍은 사진 게시...XRP 가격 반등하나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