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트론 창립자 저스틴 선(Justin Sun)은 트론과 비트토렌트(BitTorrent, BTT) 체인 생태계를 후오비 생태계 체인과 통합한다고 공식 발표하며, 가상자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트론은 자체 생태계 확장 및 발전을 위해 활발한 행보에 나서면서 시바이누(Shiba Inu, SHIB)를 제치고 시총 14위에 올랐다.
최근, 시바이누는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추진 의사와 함께 도지코인(Dogecoin, DOGE)의 시세가 급등하자 덩달아 상승세를 기록했다.
트론과 시바이누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트론 vs 시바이누, 언급량 추이는? 10월 10일부터 10월 16일까지 일주일간 트론은 1,100회, 시바이누는 197회 언급됐다.
트론의 이미지는 긍정 71%, 부정 22%, 중립 7%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많은 관심’, ‘고급’, ‘최고’, ‘안정적’, ‘세계적’, ‘매력 넘치다’, ‘우위’, ‘감사드리다’, ‘보상’, ‘반짝반짝’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상실하다’, ‘길 잃다’, ‘망하다’가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시바이누의 이미지는 긍정 64%, 부정 34%, 중립 2%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소중하다’, ‘귀엽다’, ‘다양하다’, ‘최선 다하다’, ‘웃다’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싫어하다’, ‘춥다’, ‘무섭다’, ‘아프다’, ‘처음 보다’ 등이 있다.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트론·시바이누 관련 주요 이슈 블록체인 전문 매체 유튜데이는 저스틴 선이 블룸버그 인터뷰를 통해 중국의 암호화폐 규제 완화 전망을 확신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비트코인 채굴과 암호화폐 투자를 엄격하게 금지하지만, 중국의 CBDC 발행에 앞서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하지만 매체는 대다수 암호화폐 옹호론자가 CBDC를 사용하기 안전한 자산으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일부 암호화폐 옹호론자는 중국과 같은 국가는 CBDC를 단순히 법정통화 대체 수단으로만 사용할 것으로 본다.
10월 15일(현지 시각), 트론 DAO(TRON DAO)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멀티체인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거래소 카이버 네트워크(Kyber Network)가 트론 그랜드 해커톤 2022(Tron Grand Hackathon 2022)의 신규 협력사가 되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트론 그랜드 해커톤 2022는 개발자의 웹 3 개발 속도를 높이면서 블록체인 생태계의 성장세를 홍보하고자 마련되었다. 해커톤은 스마트 계약이나 블록체인 관련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원하는 기업가, 개발자, 디자이너 등에게는 흥미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AMB크립토는 시바이누 선물 미결제약정이 24시간 사이 18% 이상 급등했다고 보도했다. 이어서 시바이누 시세 하락세와 선물 미결제약정 상승세가 동시에 기록되면서 새로이 공매도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또, 매체는 다른 기사를 통해 시바이누가 2021년 암호화폐 시장 투자 열기와 2022년 여름의 암호화폐 시장 붕괴 등 시장 흐름을 반영한 시세 변동을 기록한 점을 언급했다. 이에, 매체는 암호화폐 거래소 체인질리(Changelly)가 시바이누의 지난 1년간 시세 변동 기록과 시장 유동성을 분석한 결과에 주목했다. 체인질리는 2025년이면 시바이누의 시세는 고점 0.00005048달러, 저점 0.00004183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암호화폐 시장 예측 웹사이트 텔레가온(Telegaon)은 시바이누가 2025년이면 신고가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텔레가온은 2025년 시바이누의 시세가 최소 0.00009839달러, 최대, 0.0001928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텔레가온은 올해 시바이누의 가격 상승세를 낙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론·시바이누, 오늘의 시세는? 10월 17일 오후 1시 37분 코인마켓캡 기준 트론의 시세는 전일 대비 0.37% 상승한 0.06219달러이며, 시바이누의 시세는 0.95% 하락한 0.00001023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