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는 2022년 3분기 블록체인 게임의 성과, 등장한 주요 트렌드, 블록체인 게임의 미래를 다루었다.
먼저, 보고서는 블록체인 게임의 대규모 채택을 위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진단했다. 고유 활성 지갑 수(UAW) 약 100만 개, 블록체인 게임 수 2,000개, NFT 거래량 5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모두 성장세가 정체된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
2차 시장 NFT 판매량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블록체인 시장의 점유율은 이더리움(Ethereum, ETH)이 60%로, 장악력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솔라나(Solana, SOL), 폴리곤(Polygon, MATIC)을 비롯한 L1 및 L2 플랫폼이 블록체인 게임 개발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게임 구축 네트워크가 되기 위한 경쟁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추세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과거의 블록체인 게임 동향과 올해 3분기 동향을 비교했다. 지난해 큰 인기를 끈 P2E(Play-to-Earn) 게임은 올해 들어 모든 주요 프로젝트의 시가 총액이 90% 이상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 세계 블록체인 게임 프로젝트는 수익에만 치중하지 않고, 재미를 더한 게임을 꾸준히 구축하는 추세이다.
현재 블록체인 게임은 세 번째 시대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그동안 NFT와 플레이어 소유권이 의미하는 바를 보여준 크립토키티(CryptoKitties)가 블록체인 게임의 첫 번째 세대를 정의했다. 하지만 크립토키티의 발전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완전한 확장성이 부족한 탓에 지연되었다.
블록체인 게임의 두 번째 시대를 정의하는 존재는 대표적인 P2E 게임인 엑시인피니티(Axie Infinity, AXIE)이다. 엑시인피니티는 필리핀 일부 사용자가 큰돈을 번 사례가 알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다. 그러나 보고서는 재미보다는 지속 가능성이 없는 수익을 우선시한 것이 엑시인피니티의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블록체인 게임의 세 번째 시대가 이전 두 시대를 기반으로 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양한 확장 솔루션을 활용하면서 수익성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재미를 우선시할 것으로 보인다.
블록체인 게임 시장 동향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 중 하나로 올해 3분기에 최초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점을 언급할 수 있다. 올해 3분기 총 거래 건은 전년 대비 2.6배 증가했다. 반면, 올해 3분기 총 거래금액은 8억 7,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분기별 성장 지표도 이번 3분기에 최초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에, 보고서는 올해 초 시작된 시장 조정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현재 블록체인 게임 시장의 또 다른 동향을 살펴보자면, 거의 모든 길드에서 ‘피벗(pivot)’이 화두로 떠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다수 길드는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려 1세대 비즈니스 모델을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래의 성공적인 길드는 커뮤니티, 투자 관리, 기술 상품, 부가 가치 서비스, 콘텐츠 라는 5가지 핵심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주요 플랫폼은 블록체인 게임 배포를 서서히 추진 중이며, 적어도 비용을 절감할 방법을 모색한다. 일례로, 에픽게임즈 스토어(Epic Games Store)는 블랑코스 블락 파티(Blankos Block Party)를 호스팅하며, 애플은 제한적이기는 하나 NFT 판매를 허용한다. 모두 NFT, 웹 3가 소비자 사이에서 존재감을 높이기 위한 흐름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이어서 보고서는 미래 블록체인 게임 구축을 위한 기존 게임 개발자 인재 이동이 시작한 점에도 주목했다. 인재 이동 흐름은 느리면서 꾸준히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간혹 특정 기존 게이머 집단의 분노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호기심과 게임의 잠재적인 미래에 대한 기술 향상의 필요성 모두 높은 상황이다.
블록체인 게임 개발자 인재 이동은 이전보다 더 흥미로우면서도 경제적 지속 가능성 추구 가속화와 같이 기존 게임의 모범 사례를 기반으로 구축된 게임 개발이라는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블록체인 게임의 미래를 정의하는 모범 사례로 F2O(Free-to-Own)를 언급했다. P2E, P&E(Play-and-Earn), P&O(Play-and-Own)에 이어 주목받는 네 번째 주요 블록체인 게임 유형인 F2O는 사용자에게 NFT를 무료로 지급한다. 비싼 NFT 구매 가격으로 블록체인 게임 접근성에 걸림돌을 형성하지 않으려는 전략이다. 블록체인 게임의 대규모 채택 속도를 높일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