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美-사우디 훈풍 부나?…"OPEC+, 내달 최대 50만 배럴 증산 논의"

김진범 기자 | 기사입력 2022/11/22 [10:31]

美-사우디 훈풍 부나?…"OPEC+, 내달 최대 50만 배럴 증산 논의"

김진범 기자 | 입력 : 2022/11/22 [10:31]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비OPEC 산유국 협의체인 '오펙 플러스'(OPEC+)가 원유 증산을 논의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 OPEC+ 참가국 대표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복수의 대표들은 "사우디와 다른 OPEC 회원국들이 내달 4일 OPEC+ 회의를 앞두고 하루 최대 50만 배럴의 증산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OPEC+의 대규모 증산 결정 이후 악화된 미국과 사우디 양국 간 관계의 균열을 메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저널은 평가했다.

 

특히 이번 회의는 러시아산 원유에 대해 유럽연합(EU)은 수입 금지에 나서고 주요 7개국(G7)은 가격상한제를 시행하기로 예정한 날 하루 전에 열리는 것이다.

 

그러나 압둘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은 "감산도 가능하다"며 증산 논의에 대한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앞서 OPEC+가 지난달 하루 200만 배럴의 감산을 결정하자 미국은 감산 결정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이익을 안겨주는 행위라며 OPEC을 이끄는 사우디를 대놓고 비판하는 등 양국 간 관계는 한동안 악화할 대로 악화했다.

 

그 뒤 미정부 관리들은 내달 열리는 OPEC+의 결정 내용을 희망을 품고 지켜볼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고 저널은 전했다.

 

이런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 관련 소송에서 사우디의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면책 특권을 인정하기로 했다는 내용의 문건을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 지방법원에 제출했다.

 

이 결정은 빈 살만 왕세자의 입지를 강화해주는 일종의 양보책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저널은 OPEC+ 참가국 대표들이 거론하는 증산 논의의 표면적인 이유는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원유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점과 OPEC 주요 회원국인 이라크와 아랍에미리트(UAE)가 생산 할당량 확대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