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과 이더리움클래식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4월 13일부터 4월 19일까지 일주일간 이더리움은 382회, 이더리움클래식은 37회 언급됐다.
이더리움의 이미지는 긍정 53%, 부정28 %, 중립 18%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강세’, ‘긍정적’, ‘기대’, ‘성공적’, ‘보상하다’, ’빠르다’,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멀다’, ‘우려’, ‘경기침체’, ‘불법’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가능하다’, ‘급등하다’, ‘압력’, ‘낙관적’이 있다.
이더리움클래식의 이미지는 긍정 86%, 부정 0%, 중립 14%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적극적’, ‘높은 관심’, ‘다양한 정보’, ‘새로운 기술’, ‘큰 인기’가 있다. 중립적인 표현은 ‘튀다’가 있으며, 부정적인 표현은 없다.
이더리움·이더리움클래식 관련 주요 이슈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샌드위치 봇 공격으로 Jaredfromsubway.eth라는 지갑이 지난 일주일간 이더리움 네트워크 수수료로 200만 달러 이상 지출했다고 보도했다. 또, 샌드위치 봇 공격 탓에 이더리움 네트워크 전체 수수료가 급등했다고 보도했다.
듄 애널리틱스(Dune Analytics)는 4월 19일 기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거래 1건당 10달러 이상으로, 수수료가 일주일 전 대비 10배 이상 상승했다고 전했다.
블록체인 뉴스 웹사이트 코인게이프는 이더리움이 2,000달러 선 붕괴와 함께 전일 대비 6% 이상 급락했다고 설명했다. 코인게이프는 달러 인덱스(U.S. Dollar Index)가 102로 상승하자 비트코인(Bitcoin, BTC)과 함께 이더리움 가치도 급락했다고 전했다.
가상자산 뉴스 플랫폼 크립토사우르스는 이더리움클래식의 매도 압박 때문에 상대강도지수(RSI)가 50% 아래로 하락함과 동시에 시장이 곰 세력에 유리하게 돌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서 트레이딩뷰(TradingView)의 시세 차트를 인용, 이더리움클래식이 20.18달러 선 인근에서 단기 지지를 재시험했다고 설명했다. 이러디움클래식은 최근 하락세와 함께 4월 14일(현지 시각) 이후 시가총액에서 3억 6,700만 달러에 이르는 손실을 기록했다. 다만, 24시간 펀드에서는 약 1,600만 달러 회복세를 기록하였다.
이더리움·이더리움클래식, 오늘의 시세는? 4월 20일 오후 12시 41분 코인마켓캡 기준 이더리움의 시세는 전일 대비 7.1% 하락한 1,945.66달러이며, 이더리움클래식의 시세는 6.18% 하락한 20.41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