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규제행렬 속에서도 일본은 합리적인 규제와 노력으로 암호화폐 공간을 리드해 나가고 있다.
최근 일본 금융청(FSA·Financial Services Agency)은 17곳의 거래소 내역을 수집한 결과 지난 3월말 기준으로 암호화폐 투자자는 총 350만여명이라고 발표했다.
연령별로 20·30·40대가 각각 전체 암호화폐 거래인구의 28·34·22%를 차지했다. 암호화폐 마진 거래와 선물에 투자하는 투자자 수는 3월말 14만2천842명이다.
지난 2014년 3월 말 기준 연간 2200만달러 수준이던 비트코인 거래량은 970억달러로 불었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을 기초자산으로 삼은 마진·신용·선물상품 거래량도 200만달러에서 5430억달러로 폭증했다.
일본이 ICO(암호화폐공개)에 대한 합법화에 나선 것도 이처럼 일본 내 암호화폐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5일(현지시간) CCN 보도에 따르면 국회의원, 학자, 은행가 및 비트플라이어(bitFlyer)의 CEO를 포함한 테스크포스인 일본의 ' ICO 비즈니스 리서치 그룹'(Japan’s ICO Business Research Group)이 발표한 보고서에는 일본 정부가 ICO를 합법화하고 명확한 업계 규칙 및 관행을 확립하며 투자자를 보호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일본이 ICO를 합법화 하게 되면 중국, 한국 등 다른 국가들이 따라야 할 유용한 전례가 될 것으로 보이며, 또 규제 조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정확히 알기 위해 모든 눈이 일본으로 향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 1월 해킹으로 5억달러 규모의 암호화폐가 유출된 거래소 '코인체크'는 잘 나가던(?) 일본 암호화폐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였지만 최근 일본 3위 온라인 증권사 모넥스그룹에 3,400만 달러에 매각되면서 불안을 불식시켰다.
18일(현지시간) CCN은 "일본은 이제 공식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비트코인 거래 시장이 되었으며, 일본 정부는 보다 통제된 환경에서 그 성장을 유지하는 방법을 찾아나가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