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알트코인인 이더리움(Ethereum, ETH)은 머지 업그레이드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또, 일각에서는 지분증명(PoS) 전환 후 이더리움이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을 역전할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8월 15일부터 8월 21일까지 일주일간 비트코인은 5,146회, 이더리움은 2,654회 언급됐다.
비트코인의 이미지는 긍정 51%, 부정 45%, 중립 3%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무료’, ‘강세’, ‘회복하다’, ‘만족’, ‘긍정적’, ‘1위’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멀다’, ‘급락’, ‘매수하다’, ‘폭락하다’, ‘손실’, ‘혐의’, ‘무시하다’, ‘공포’ 등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이더리움의 이미지는 긍정 54%, 부정 43%, 중립 3%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많은 관심’과 ‘관심 많다’, ‘강세’, ‘도움’, ‘1위’, ‘긍정적’, ‘보상’, ‘기대’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멀다’와 ‘혐의’, ‘조심하다’가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비트코인·이더리움 관련 주요 이슈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슬로우미스트(SlowMist) 소속 온체인 조사 전문가 ₿liteZero의 2022년 중반 블록체인 보안 보고서 발행 소식을 전했다. ₿liteZero는 지난 3월, 로닌(Ronin) 브리지 공격 배후 세력이 renBTC와 비트코인 프라이버시 툴 Blender, ChipMixer 등을 이용해 탈취 자산 대부분 이더리움을 비트코인으로 전환했다는 사실을 전했다.
가상자산 전문 매체 AMB크립토는 비트코인이 7월 초부터 상향 채널 궤도에서 완만한 회복세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2만 3,800~2만 4,400달러 저항 범위가 반전을 일으켜, 비트코인 가치를 끌어내리면서 패턴 붕괴가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역전 흐름이 반영된 2만 800달러 영역과 함께 투자자는 2만 1,600달러 장벽 돌파를 목표로 삼을 수 있다. 만약, 2만 1,600달러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접한다면, 약세 반전이 일어나기 전 비트코인 가치가 단기 상승을 기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 뉴스 플랫폼 뉴스BTC는 이더리움의 1,750지지선이 붕괴되었으며, 1,550달러에서 더 하락세를 기록할 위험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크라켄은 자체 데이터 분석 결과, 이더리움이 시간당 거래 차트에서 1,580달러 인근 약세 추세선을 돌파 흐름을 보였다고 전했다.
만약, 이더리움이 1,700달러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초기 지지선은 1,550달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1,525달러 선에 주요 지지선이 형성될 것이다.
비트코인·이더리움, 오늘의 시세는? 8월 22일 오후 3시 52분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의 시세는 전일 대비 1.01% 상승한 2만 1,354.1달러이며, 이더리움의 시세는 0.77% 상승한 1,585.74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