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가상화폐(암호화폐·가상통화) 거래에서 비트코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기 차익을 노린 알트코인 거래가 많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임준환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1일 '국내 가상화폐 거래의 특징과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미국경제학회 자료를 인용해 국내 가상화폐 거래금액 중 비트코인의 비중이 32.7%로 세계에서 가장 낮았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 가상화폐 거래에서 비트코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63.4%다. 일본은 96.9%로 비트코인 거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영국(87.1%)이나 브라질(84.0%), 러시아(83.7%) 등도 높은 편이었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금액은 36억1000만 달러로 전 세계 가상화폐 거래금액의 29.8%이다. 비트코인만 놓고 보면 국내 거래규모의 비중은 15.3%에 그치지만, 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화폐 거래에서는 우리나라 거래규모가 54.7%에 달한다.
원화로 거래되는 가상화폐 거래금액은 지난해 12월 17일 기준으로 36억달러(약 3조9천억원)로, 비트코인(67억달러), 미 달러화(59억달러) 다음으로 많았다.
보고서는 한국에서의 가상화폐 시장의 과열·과대화 요인으로 인터넷에 익숙한 20~30대의 높은 참여도와 블록체인 기술 발전에 대한 낙관적 전망 등으로 인한 초과수요, 중국 등 자국 내 규제를 피해 유입된 해외투자자들, 부화뇌동 투자심리 등 국내투자자들의 투기적 행위 등으로 분석했다.
임 연구위원은 “가상화폐가 법정화폐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은 현재로써는 낮지만 향후 화폐로서의 잠재력이 현실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가상화폐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해킹 피해에 노출된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강화 등 적절한 규제가 수반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