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및 영국 정부기관을 비롯해 4,200여개의 웹사이트가 가상화폐(암호화폐) 채굴을 위한 악성코드에 수 시간동안 감염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IT전문매체인 더레지스터와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11일(현지시각) 약 4,200 개 이상의 사이트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웹페이지 읽기 소프트웨어인 브라우즈얼라우드(Browsealoud)의 악성 버전에 의해 감염됐다고 보도했다.
더레지스터는 "해커들은 브라우즈얼라우드의 소스코드를 코인하이브의 가상통화 모네로 채굴을 위한 코드로 변경시켜 브라우즈얼라우드를 제공하는 모든 웹페이지에 심어놓았다"면서 "오늘 수시간 동안 이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람들은 자신들도 모르게 모네로 채굴에 이용됐다"고 말했다.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된 기관에는 미국의 뉴욕시립대학, 미국의 법원 정보 포털사이트인 엉클샘스, 룬드대학, 영국 대학생 대출기관 등이 포함됐다.
이처럼 해커들이 '모네로'를 노리는 이유는 최근 가격이 4배가량 폭등한 데다, 모네로는 고가의 GPU(그래픽처리장치) 없이도 일반 CPU(중앙처리장치)로 채굴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익명성이 확실히 보장돼 범죄조직이 모네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