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JP모건, FTX發 암호화폐 위기는 '실버라이닝'..."비트코인 13,000달러까지 떨어질 수도"

김진범 기자 | 기사입력 2022/11/12 [11:25]

JP모건, FTX發 암호화폐 위기는 '실버라이닝'..."비트코인 13,000달러까지 떨어질 수도"

김진범 기자 | 입력 : 2022/11/12 [11:25]

 

한때 세계 3위에 달했던 암호화폐거래소 FTX가 11일(현지시간) 파산 신청을 하면서 코인 시장이 휘청거리고 있는 가운데, 월가의 대형 투자은행인 JP모건은 "암호화폐 산업이 장기적으로 현재의 혼란으로부터 실제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며, 이를 '실버라이닝'(silver lining)으로 명명했다. 실버라이닝은 구름의 흰 가장 자리를 의미한다. 주로 밝은 희망, 불행 속의 한 가닥 희망을 뜻한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JP모건 분석가들은 최근 메모에서 현재 진행 중인 암호화폐 위기가 실제로 암호화폐 산업을 두 단계 발전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FTX 암호화폐 제국의 갑작스러운 붕괴로 인해 규제 기관이 암호화폐 규제를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고, 포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의 수립은 암호화폐 제도적 채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이들은 최근의 모든 암호화폐 붕괴가 탈중앙화 프로토콜이 아닌 중앙 집중식 산업 플레이어로부터 발생했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부문에 잠재적으로 좋은 징조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블룸버그에 따르면 JP모건 전략가 니콜라오스 파니기르초글루(Nikolaos Panigirtzoglou)가 이끄는 팀은 FTX 위기로 인한 암호화폐 마진콜 폭포(디레버리징)로 비트코인이 13,000달러까지 밀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JP모건은 "FTX, 알라메다 리서치 붕괴 이슈가 더 심각한 것은 암호화폐 업계에서 자본이 적고 고레버리지를 활용하는 사람들을 구제할 수 있는 대차대조표가 탄탄한 기업의 수가 줄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비트코인 생산 비용은 15,000달러이지만 13,000달러 저점을 테스트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