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빅데이터] SEC 증권 분류 암호화폐...폴리곤(MATIC) vs 더 샌드박스(SAND) 트렌드
17일(현지 시각) 기준 0.625112달러에 거래된 폴리곤 가치는 24시간 사이에 9.63% 급등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주요 메타버스 테마 토큰인 더 샌드박스(The Sandbox, SAND)는 SEC의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제소에 따른 알트코인의 증권 분류 주장에 반대한다는 최고 운영 책임자 세바스티안 보겟(Sabastien Borget)의 발언으로 암호화폐 업계에서 주목받았다.
폴리곤과 더 샌드박스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6월 12일부터 6월 18일까지 일주일간 폴리곤은 212회, 더 샌드박스는 6회 언급됐다.
폴리곤의 이미지는 긍정 45%, 부정 52%, 중립 3%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좋다’, ‘기대하다’, ‘유리하다’, ‘무료’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폭락’, ‘혐의’, ‘불만’, ‘우려’, ’부담’, ‘불법적’, ‘반발’, ‘급락’, ‘손실’ 등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더 샌드박스의 이미지는 긍정 57%, 부정 0%, 중립 43%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새로운 기술’, ’가치 오르다’, ’가치 지니다’, ‘인기 얻다’, ‘기쁘다’, ‘저렴한 가격’ 등이 있다. 중립적인 표현은 ‘가능하다’가 있으며, 부정적인 표현은 없다.
폴리곤·더 샌드박스 관련 주요 이슈 블록체인 전문 뉴스 플랫폼 유투데이에 따르면, 폴리곤 랩스(Polygon Labs)가 인도 최대 규모 온라인 쇼핑 플랫폼 플립카트(Flipkart)와의 협력 체결 소식을 발표했다. 양사는 폴리곤의 이더리움(Ethereum) 레이어 2 확장 프로토콜의 로열티를 바탕으로 보상 강화에 나설 ‘파이어드롭 2.0(FireDrops 2.0)’을 추진한다.
폴리곤 랩스는 파이어드롭 2.0과 함께 브랜드 마케팅과 스토리텔링 혁신을 도모하면서 고객의 폴리곤 네트워크 참여를 유도한다. 더 나아가 플립카트 플랫폼이 NFT 기술을 이용하는 구조로 게임화를 통한 혜택을 부여하면서 개인 맞춤화된 참여 및 보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17일(현지 시각), 더 샌드박스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메타버스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가장 최근 제작한 플랫폼 경험을 공유하는 이벤트를 하루 동안 진행했다. 이벤트 참여는 안내 트윗에 답글로 가장 최근의 플랫폼 경험 개발 결과물을 공유하면서 더 샌드박스 게임의 공식 트위터 계정과 #ScreenshotSaturday 해시태그를 추가하면 된다.
이벤트에 선정된 크리에이터 2명에게는 각각 SAND 토큰 500개를 보상으로 지급했다.
폴리곤·더 샌드박스, 오늘의 시세는? 6월 19일 오후 4시 4분 코인마켓캡 기준 폴리곤의 시세는 전일 대비 1.51% 하락한 0.6003달러이며, 더 샌드박스의 시세는 0.67% 하락한 0.3856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