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올해 24%↑마감, 비트코인 150% 이상 급등…"BTC, 연말 랠리 누리지 못할 것"
2023년 마지막 거래일인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가 약세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고점을 경신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9주 연속 상승하는 기록을 세우며 연간으로 24%나 오르는 역사적인 강세장을 나타내 보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56포인트(0.05%) 하락한 37,689.5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3.52포인트(0.28%) 내린 4,769.83에, 나스닥 지수는 83.78포인트(0.56%) 하락한 15,011.35에 장을 마쳤다.
S&P 500 지수는 전날 4,783.35에 마감하며 지난 2022년 1월 3일의 사상 최고치(4,796.56)에 눈앞까지 다가갔지만 이날 약세로 마감하면서 연내 최고치 탈환에는 결국 실패했다.
전고점 탈환에는 실패했지만 S&P 500 지수는 2023년 한 해 24.2%나 오르며 강한 반등장을 나타냈다. 다우지수는 올해 한 해 13.7%, 나스닥 지수는 43.4% 각각 상승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S&P500지수가 조만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내년 상반기 흐름은 고르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웰스파고 투자연구소의 스콧 렌 선임 전략가는 마켓워치에 "오늘 최고치를 경신하지 못하면 새해 며칠 내에 S&P500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내년 1분기는 고르지 못할 것이라며 S&P500지수가 자사 연말 전망치인 4,600~4,800의 상단에서 거래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시장이 내년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과 관련해 "너무 낙관적이다"라며 연준이 내년 2~3회 가량의 금리인하에 나서는 데 그칠 것이라는 점에서 "시장이 너무 많은 인하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르네상스 매크로 리서치의 케빈 뎀터 기술적 분석가는 "내년 S&P500지수가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상태에서 한 해를 시작할 것이라는 점에서 1분기에 얕은 조정이나 약한 하락세를 예상한다"면서도 "하락세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멘텀 신호를 고려하면 앞으로 6~12개월 동안 소형주가 크게 올라 대형주 대비 아웃퍼폼할 것을 시사하지만, 그렇다고 대형주를 내던져야 할 이유도 없다고 말했다.
한편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은 지난 24시간 동안 1% 넘게 떨어지면 42,000달러선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은 한달째 42,000달러에서 44,000달러 범위에서 횡보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올해 들어 현물 ETF가 승인될 것이란 기대감에 150% 이상 올랐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반리온 캐피탈의 빅토리아 빌스 최고 투자 전략가는 인터뷰에서 "내년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승인될 가능성이 이미 가격에 반영돼 있다"며 비트코인은 호재에도 연말 상승세가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QCP캐피탈은 "실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되면 초기에는 시장 예상보다 비트코인 수요가 저조할 수 있다"며 ETF 출시 직후인 1월 둘째 주는 전형적인 '뉴스에 팔아라' 시나리오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비트코인 현물 ETF에 기관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리며 가격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