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코인 빅데이터] 빅2 암호화폐 강세장 지속...비트코인(BTC) vs 이더리움(ETH) 트렌드

고다솔 기자 | 기사입력 2024/02/21 [15:34]

[코인 빅데이터] 빅2 암호화폐 강세장 지속...비트코인(BTC) vs 이더리움(ETH) 트렌드

고다솔 기자 | 입력 : 2024/02/21 [15:34]

▲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Top 2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 BTC)과 이더리움(Ethereum, ETH) 모두 각각 5만 3,000달러와 3,000달러 선을 일시적으로 돌파하였으나 이내 소폭 하락했다. 하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향한 긍정적인 전망이 여전히 우세하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 출처: 썸트렌드

 

비트코인 vs 이더리움, 언급량 추이는?

2월 14일부터 2월 20일까지 일주일간 비트코인은 1,365회, 이더리움은 384회 언급됐다.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비트코인 vs 이더리움, 이미지와 주요 감성어는?

비트코인의 이미지는 긍정 54%, 부정 35%, 중립 11%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강세’, ‘기대’, ‘회복하다’, ‘긍정적’, ‘보상’, ’상승세 잇다’,’ 싸다’, ‘달성하다’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매수하다’, ‘가격 오르다’, ‘폭등하다’, ‘도주하다’가, 중립적인 표현은 ‘급등하다’, 충격’이 있다.

 

이더리움의 이미지는 긍정 64%, 부정 27%, 중립 10%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근겁하다’, ‘강세’, ‘기대’, ‘자부심’, ‘긍정적’, ‘보상’, ‘비용 줄어들다’, ‘상승세 보이다’가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가격 오르다’, ‘공격적’, ‘폭등하다’, ‘멀다’, ‘공포’가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급등하다’, ‘강하다’가 있다.

 

비트코인·이더리움 관련 주요 이슈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데일리호들은 데이브 더 웨이브(Dave the Wave)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는 애널리스트가 로그 성장 곡선(logarithmic growth curve, LGC)에 따라 비트코인이 상한과 하한 내에서 계속 거래될 것으로 예측한 점을 전했다. LGC는 단기 변동성을 걸러내면서 비트코인의 시장 사이클 고점과 저점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투자 모델이다.

 

데이브 더 웨이브는 그동안 기록한 시간의 시험대에 섰던 모델을 무효화하고, 장기적으로 LGC 내에서 거래를 이어가는 것이 더 합리적인 전망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LGC의 상한을 돌파한 후 암호화폐 왕을 모델의 하한 아래로 보내는 가파른 가격 조정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담은 차트를 제시했다. 또, 피보나치 확장 지표를 제시하며, 2025년 비트코인 목표가를 18만 달러 아래로 예측했다.

 

더불어민주당이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22대 총선 디지털자산 공약'을 발표했다. 기관 투자자의 시장 참여를 골자로 한 이번 공약 중에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발행, 상장, 거래 허용’도 포함되었다.

 

그에 앞서 21일, 온체인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의 주기영 대표는 국내 기관 투자자 사이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 수요가 매우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 기관 투자자가 수년간 암호화폐 진출을 노려왔다는 점을 그 이유로 제시하며, “국내 암호화폐 수요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될 이유”라고 말했다.

 

디지털 자산 뉴스 웹사이트 더블록은 이번 달 만기되는 이더리움 옵션에 2,200달러 약세 베팅이 집중되었다는 자체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더블록은 시카고상품거래소의 이더리움 옵션 미결제 약정 규모를 5억 2,600만 달러로 추산했다.

 

비트파이넥스 파생상품 담당자 재그 쿠너(Jag Kooner)는 더블록과의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3,000달러에서 강세 옵션 매수와 함께 2,200달러 약세 베팅으로 하락 위험을 헤지하는 전략이 인기가 있었다”라고 전했다.

 

스위스원 캐피털(SwissOne Capital) 최고 투자 책임자 케니 헌(Kenny Hearn)은 이더리움이 3,000달러를 일시적으로 돌파한 직후 진행된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3,150~3,300달러 구간을 향한 움직임에 매우 근접해졌다”라며, “이제 다음 목표가는 3,600달러가 될 것이다. 약 한 달 후면 해당 구간까지 접근하는 것이 수월해지면서 이더리움을 비롯한 알트코인 시장 전반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다”라는 전망을 제기했다.

 

비트코인·이더리움, 오늘의 시세는?

2월 21일 오후 3시 34분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의 시세는 전일 대비 0.17% 하락한 5만 1,842.01달러이며, 이더리움의 시세는 1.5% 상승한 2,975.21달러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