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코인 빅데이터] 밈 암호화폐 강세장 대열 합류...플로키(FLOKI) VS 도그위햇(WIF) 트렌드

고다솔 기자 | 기사입력 2024/03/05 [15:53]

[코인 빅데이터] 밈 암호화폐 강세장 대열 합류...플로키(FLOKI) VS 도그위햇(WIF) 트렌드

고다솔 기자 | 입력 : 2024/03/05 [15:53]

▲ 출처: Floki(@RealFlokiInu)


3월 들어 밈코인 시장에 강세 열풍이 불었다. 이번 강세장에서는 도지코인(Dogecoin, DOGE)과 시바이누(Shiba Inu, SHIB) 외에도 개를 테마로 한 밈코인인 플로키(Floki Inu, FLOKI)와 도그위햇(Dogwifhat, WIF)도 주목을 받았다. 플로키와 도그위햇은 일주일 만에 각각 220%, 19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폭발적인 랠리를 기록했다.

 

플로키와 도그위햇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 출처: 썸트렌드

 

플로키 vs 도그위햇, 언급량 추이는?

2월 27일부터 3월 4일까지 일주일간 플로키는 19회, 도그위햇은 3회 언급됐다.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플로키 vs 도그위햇, 이미지와 주요 감성어는?

플로키의 이미지는 긍정 57%, 부정 43%, 중립 0%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강세’, ‘달성하다’, ‘상승세 보이다’가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위험’, ‘가소롭다’가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도그위햇은 긍, 부정 감성어가 없다.

 

플로키·도그위햇 관련 주요 이슈

블록체인 뉴스 플랫폼 코인게이프는 룩온체인(Lookonchain)의 온체인 데이터를 인용, 이번 달 플로키 가격이 폭등하자 암호화폐 고래 세력이 플로키 토큰 281억 9,000만 개(약 429만 달러)를 바이낸스에서 인출하여 정체를 알 수 없는 지갑으로 이체한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보도했다.

 

고래 세력이 플로키를 대거 이체하자 축적 활동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코인게이프는 현재 시장 상황을 두고 플로키 거래가는 전일 대비 하락하는 등 공급량 감소에 따른 가격 펌핑이라는 일반적 시장 심리와는 대조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코인글래스(Coinglass)의 파생상품 데이터 거래 현황 데이터를 제시하며, 플로키의 거래량은 20.83%, 미결제약정은 4.97% 감소했다고 언급했다.

 

플로키는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3일(현지 시각) 플로키의 총예치자산(TVL)이 4억 9,4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3일 기록한 TVL 기록은 전일 TVL이 4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지 하루만에 신고점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크립토포테이토는 퀀티파이 크립토(Quantify Crypto)의 주간 암호화폐 가치 상승률 분석 데이터를 제시하며, 이번 주에는 플로키가 암호화폐 시총 100위 권에 다시 이름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도그위햇은 1.7달러까지 급등하는 등 신고점을 향한 상승세를 이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디지털 자산 전문 온라인 미디어 워처그루는 룩온체인의 온체인 데이터를 인용, 2023년 11월 기준 645달러에 도그위햇을 매입한 어느 한 투자자가 최근, 410만 달러로 투자 수익을 기록한 소식을 전했다. 당시 해당 투자자는 솔라나 토큰 5.288개로 도그위햇 코인 258만 개를 매입했다.

 

그리고, 최근 강세에 따라 도그위햇 토큰 75만 개를 9,363SOL(121만 달러)에 매도했다. 매도 당시 도그위햇은 1.61달러에 거래되었다. 현재는 약 291만 달러에 이르는 도그위햇 코인 183만 달러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플로키·도그위햇, 오늘의 시세는?

3월 5일 오후 3시 41분 코인마켓캡 기준 플로키의 시세는 전일 대비 4.69% 하락한 1.54달러이며, 도그위햇의 시세는 9.52% 하락한 0.0001431달러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