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주도한 해커 범죄자 집단' 다크사이드'(DarkSide)는 송유관을 운영하는 업체인 콜로니얼에게 시스템을 풀어주는 대가로 500만 달러에 이르는 비트코인(Bitcoin, BTC)을 요구했다.
이처럼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요구하는 랜섬웨어(컴퓨터를 악성 프로그램으로 감염시켜 파일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잠가놓고 협상금을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공격으로 인한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실제 블록체인 데이터 및 분석 회사인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에 따르면 작년에 암호화폐 관련 랜섬웨어 공격이 311% 증가했다.
이에 주요 7개국(G7)이 공동 대응에 나섰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 백악관은 13일(현지시간) 브리핑 자료를 내고 “랜섬웨어는 전세계적으로 당면한 과제이며, 위협 규모가 커지고 정교해지고 있다”며 “지난 몇 주간 많은 G7 및 기타 국가의 주요 인프라와 제조업, 병원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이버 침입이 발생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백악관은 “초국가적 범죄 기업들은 암호화폐와 같은 자금세탁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있다”며 “국제사회는 중요한 인프라 위협에 대응해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조사하고 기소하는 데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현재 백악관은 랜섬웨어 갱들(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및 세계 최대 정육업체 JBS의 미국 법인 JBS USA를 사이버 공격한 해커 조직인 다크사이드와 레빌)의 배후로 러시아를 의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최근 "바이든 대통령이 미러 정상회담에서 러시아에 있는 ‘랜섬웨어 범죄자들’을 관리하는 러시아 정부의 역할을 논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하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NBC방송과 인터뷰에서 "근거 없는 비난"이라고 일축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