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 데일리호들 등에 따르면, 부테린은 8일(현지시간) 레딧 포럼에 참석, 엘살바도르에서 비트코인 사용을 의무화(Mandatory)한 것은 암호화폐 업계가 중요하게 여기는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에 대한 특정 암호화폐 도입 의무화는 암호화폐 사상에 위배된다"며 "또한 사전 교육을 받지 않은 수백만 엘살바도르 국민에게 비트코인 거래를 요구하는 것은 무모하다. 무고한 사람이 해킹이나 사기를 당할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미디어는 "비탈릭 부테린이 엘살바도르 비트코인법 7조(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람은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를 염두해 해당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와 관련 엘살바도르 재무부 장관은 비트코인 및 디지털 월렛(치보) 사용은 전적으로 선택사항으로, 암호화폐를 지원하지 않는 기업이 불이익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나 지역 주민은 여전히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달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해외 송금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큰 엘살바도르의 나이브 부켈레(Nayib Bukele) 대통령이 이 움직임을 주도했다. 하지만 한 달이 지난 현재 기술적 오류나 가격 변동성 문제 등으로 법정화폐 안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 로이터 통신은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인정하며 거래는 늘고 있지만 기술 오류로 사람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고 또, 비트코인의 변동성을 우려하는 사람이 많아 연간 60억 달러에 달하는 송금의 대부분은 여전히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