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를 소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 사업자인 인터컨티넨털익스체인지(ICE)가 새롭게 설립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백트(Bakkt)’는 비트코인(BTC) 마진 거래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마진 거래는 매매 대금의 일정 부분을 예탁하고, 필요한 자금이나 주권을 차입하는 매매 방식이다.
2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뉴스비티씨에 따르면 백트의 CEO 켈리 뢰플러(Kelly Loeffler)는 "백트는 완전 담보, 즉 사전 자금 조성 방식으로 비트코인 매매를 진행한다. 때문에 상품은 마진(margin) 거래나 차입금(leverage) 거래로 진행되지 않으며, 실제 자산(real asset)에 대한 청구도 없을 것"이라면서 "이는 마진, 레버리지 및 현금 결제(cash settlement)를 허용하는 기존 선물 및 암호화폐 거래소와는 차별화 된다"고 설명했다.
뢰플러 CEO는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와 관련된 벤처 투자, ICO(암호화폐공개) 및 기업 R&D는 지난해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면서 암호화폐 시장과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일부 전문가에 따르면 "백트는 미국의 주요 증권거래소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진입한 첫 번째 케이스"라면서 "백트 플랫폼의 성공은 나스닥과 같은 다른 증권 거래소의 시장 진입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이달 초 뉴욕증권거래소 포함 23개의 대형 글로벌 거래소를 보유하는 인터콘티넨탈 익스체인지(ICE)는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업체 마이크로소프트(MS), 세계 최대 소매업체 스타벅스, 거대 컨설팅사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등을 포함한 다양한 블록버스터급 기업들과 손잡고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백트'를 개발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ICE는 백트를 통해 개인과 기관투자가 등이 전세계적 네트워크 상에서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고 저장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출범 시기는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아 11월쯤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형 승인 거래소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 소식은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관심과 기대를 일으켰다. 대형 투자사 판테라는 해당 프로젝트를 주목해야 할 대형 소식으로 평가하며, 대형 투자펀드를 통해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또한 CNBC 브라이언 켈리(Brian Kelly)도 백트 출범 소식에 대해 "올해의 최대 비트코인 뉴스(the biggest Bitcoin news of the year)"라면서 "임박한 암호화폐 제도화 이전에 암호화폐 시장에 진입할 좋은 지점(point of entry)"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