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6월 한국증시 성적 세계 '꼴찌'…하반기 저가매수 나설까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6/26 [08:45]

6월 한국증시 성적 세계 '꼴찌'…하반기 저가매수 나설까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2/06/26 [08:45]


심화되는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에 전 세계 증시가 동반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유독 한국 증시의 부진이 눈에 띈다.

 

이달 들어 글로벌 주식시장 대표 지수 중 코스닥 하락률은 1위였고 코스피 하락률은 2위였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지난달 말 893.36에서 최근 거래일인 이달 24일 750.30으로 16.01% 하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2,685.90에서 2,366.60으로 11.89% 내렸다.

 

전 세계 대표 주가지수 40개 가운데 코스닥과 코스피 하락률은 각각 1위와 2위를 기록했다.

 

국내 업종별로 보면 지수 흐름을 주도하는 반도체주가 업황 우려에 급락하면서 시장 전체에 타격을 줬다.

 

코스피·코스닥 주요 종목을 편입한 KRX 업종지수 기준으로 반도체 지수는 6월 들어서만 19.57% 하락했다. 또 철강(-18.99%), 건설(-17.21%), 경기소비재(-14.95%), 운송(-14.58%) 등 경기 민감 업종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6월 들어 한국 증시의 수익률은 스웨덴 OMX 스톡홀름30(-11.73%), 브라질 보베스파(-11.39%), 오스트리아 ATX(-10.78%), 아르헨티나 머발(-10.49%) 등을 제치고 세계 최하위 수준이었다.

 

5월 기준 물가 상승률이 작년 동월 대비 60.7%에 이르고, 이달 중순 기준금리를 52%로 3%포인트 올린 아르헨티나보다 한국의 증시 수익률이 저조했다.

 

글로벌 증시 움직임을 이끄는 뉴욕증시에서는 이달들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5.33% 하락했고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가 각각 4.51%, 3.92% 내렸다.

 

특히 6월에 상대적으로 선방한 아시아 주변국 증시와 비교하면 한국 증시의 낙폭이 더욱 두드러진다.

 

이달 들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는 각각 5.13%, 9.25% 올랐다. 홍콩 항셍지수도 1.42% 상승했으며 일본 니케이225지수는 2.89% 하락에 그쳤다.

 

한국 증시처럼 반도체 종목 비중이 큰 대만 가권지수가 8.95% 내려 낙폭이 큰 편이었지만 코스피나 코스닥보다는 덜 하락했다.

 

이 기간 수익률 1위는 러시아 증시로 지난달 말보다 17.12% 상승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한 번에 75bp(1bp=0.01%포인트) 올리고, 주요국 중앙은행도 고강도 긴축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

 

이에 경기 침체 공포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뒤흔들자 미국 증시가 약세장에 진입하고 주요국 증시도 속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그중에서도 한국 증시가 유독 부진한 이유로는 수출 둔화, 원화 약세와 한미 금리 역전 우려에 따른 외국인 매도세, 반대매매 출회 등이 거론된다.

 

한국 수출은 6월 들어 20일까지 1년 전보다 3.4% 감소했다. 아울러 무역적자 지속으로 상반기 누적 무역적자 규모가 반기 최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국내 경제의 수출 의존도가 높은 만큼 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 둔화는 기업 실적과 주가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

 

최근에는 특히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보다 높아지는 금리 역전 가능성에 외국인 매도세를 자극하는 재료로 언급된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총 5조3천760억원을 순매도하며 주가를 끌어내렸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 여타 주식시장 대비 더 큰 충격을 받고 있는데 이는 경기 침체 시 수출둔화 우려, 외국계 자금 유출 지속, 개인 투자심리 위축으로 인한 매수 주체 실종 등이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연준이 7월에도 금리 75bp 인상을 예고한 만큼 7월에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불가피하다"며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계 자금의 한국 자본시장 이탈 우려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투자심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또 주가 급락으로 외국인 차액결제거래(CFD)와 개인 신용거래 등에 대한 반대매매 물량이 쏟아지면서 증시에 하방 압력을 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의 상대적 급락세는 대외 변수보다는 국내 변수의 영향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하지만 국내 펀더멘털, 산업, 기업 실적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수급 변수 중에서도 신용 매매, CFD, 주식담보대출(스톡론) 등에 따른 반대매매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외국인 선물 매매 패턴 영향이 크다고 본다"며 "개인 투자자들의 반대매매와 실망 매물도 대거 출회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하반기 증시 전망에 대해서는 상당수 증권사가 '저가 매수는 시기상조'라며 보수적 대응 전략을 권고했다. 

 

윤창용 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경기) 침체 진입 가능성을 반영해 이익 추정치 하향도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라며 "기술적 반등이 나올 여지는 있지만, 정치적 노이즈가 깔려 있어 감수해야 할 리스크를 고려하면 저점 매수에 나설 시기라고 보긴 어렵다"고 조언했다.

 

황승택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도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경기 둔화 압력은 커지고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도 이어지는 중"이라며 "물가 피크아웃(정점 통과)을 확인한 뒤 저점매수를 저울질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장기적 관점에서 저가 매수에 나설만하다는 조언도 나온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주식시장이 당분간 변동성을 이어갈 공산이 큰 만큼 저점을 확인했다고 보기에는 이르다"면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선 분할 매수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윤석모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 증시 수준은 경기 침체를 이미 반영하고 있는 만큼 '투매'보다는 '보유', '관망'보다는 '매수'가 적절하다"며 가장 과감한 투자 전략을 제시했다.

 

단, 장기 투자 관점에서 긴 호흡으로 저가 매수에 나서는 경우라도 증시 불안 요인이 남은 만큼 레버리지(차입) 투자는 반드시 피하고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이들은 강조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KBW 2024 인터뷰] 카바 공동 창업자 스캇 "인공지능과 비트코인 레이어 2로 웹3 선도할 것"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