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저커버그의 메타가 메타버스 기업으로 전환을 선언하면서 주목받았던 메타버스 테마 암호화폐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 MANA)’와 ‘더 샌드박스(The Sandbox, SAND)’의 관심도가 지난해 들어 하락했다. 그러나 디센트럴랜드는 지난 일주일 사이에 60%, 더 샌드박스는 30% 이상 랠리를 기록하면서 다시 관심도가 증가했다.
디센트럴랜드와 더 샌드박스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1월 12일부터 1월 18일까지 일주일간 디센트럴랜드는 28회, 더 샌드박스는 3회 언급됐다.
디센트럴랜드의 이미지는 긍정 74%, 부정 26%, 중립 0%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다양한 서비스’, ‘최고’, ‘흥미롭다’, ‘해결하다’, ‘상승세 보이다’, ‘믿다’, ‘모양 괜찮다’, ‘1위 차지하다’, ‘강세 보이다’, ‘공정하다’, ‘신뢰하다’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어렵다’, ‘울다’, ‘우려 있다’, ‘폭등하다’가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더 샌드박스의 이미지는 긍정 100%, 부정 0%, 중립 0%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증정되다’, ‘경쟁력 가지다’가 있다. 부정적인 표현과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디센트럴랜드·더 샌드박스 관련 주요 이슈 디센트럴랜드는 디센트럴랜드 제3회 연례 영화 클럽(Decentraland 3rd Annual Film Club)이라는 이름의 메타버스 영화제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1월 12일(현지 시각) 시작된 영화제 경연 대회는 최대 30초 분량의 영상을 제작해 디센트럴랜드와 트위터에 #DCLFilmClub 해시태그와 함께 영상을 게재하여 참여할 수 있다. 영상 출품은 오는 2월 8일 오전 7시(현지 시각)까지 가능하다.
영상은 디센트럴랜드에서 만족하는 부분을 담고, 디센트럴랜드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이번 대회에서 10위에 포함된 참가자 모두 바이브 플로우 VR 헤드셋(Vive Flow VR headset)을 받는다.
더불어 3위는 MANA 토큰 150개를 2위는 MANA 토큰 300개, 1위는 MANA 토큰 600개를 추가로 받는다.
블록체인 뉴스 플랫폼 유투데이는 MANA 랠리 시작에 호주 오픈(Australian Open) 대회가 영향을 주었다고 전했다. 디센트럴랜드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호주 오픈 메타버스인 ‘AOmetaverse’가 디센트럴랜드로 돌아왔다고 전했다. ‘AO메타버스와 디센트럴랜드 엔터테인먼트 구역이자 디센트럴랜드 최대 상업 영역인 ‘베가스 시티(Vegas City)’ 모두 1월 17일(현지 시각), 트위터에서 14일간의 호두 오픈 2023 활성화 동향을 공유하기 시작했다.
이 밖에 디센트럴랜드는 최근 프로필의 신규 기능과 아바타 기능을 추가했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AMB크립토는 더 샌드박스의 실현 가치 대비 시장 가치(MVRV) 비율이 SAND 토큰의 최근 랠리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샌티먼트(Santiment) 데이터를 인용, 30일 MVRV 비율이 33.83%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또, 매체는 더 샌드박스가 메타비바(Metaviva), mm2엔터테인먼트(mm2Entertainment) 더 샌드박스 내 가상 플레이그라운드 구축 협력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더 샌드박스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메타비바와 mm2엔터테인먼트는 현실 세계의 콘텐츠를 확장한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할 가상 토지 구역을 소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매체는 샌티먼트 데이터를 인용, 투자자의 SAND NFT 참여도가 현저히 감소했다고 전했다. 1월 18일(현지 시각) 기준 SAND NFT 거래량은 총 24만 4,000달러로 확인됐다.
디센트럴랜드·더 샌드박스, 오늘의 시세는? 1월 19일 오후 2시 9분 코인마켓캡 기준 디센트럴랜드의 시세는 전일 대비 4.94% 하락한 0.6571달러이며, 더 샌드박스의 시세는 4.13% 하락한 0.6945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