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코인 빅데이터] 블록체인 해외송금 플랫폼...리플(XRP) vs 스텔라루멘(XLM) 트렌드

고다솔 기자 | 기사입력 2023/04/11 [15:31]

[코인 빅데이터] 블록체인 해외송금 플랫폼...리플(XRP) vs 스텔라루멘(XLM) 트렌드

고다솔 기자 | 입력 : 2023/04/11 [15:31]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미등록 증권 판매 문제로 2년간 법정 공방을 이어가고 있는 리플(Ripple)을 지지하는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제레미 호건(Jeremy Hogan)이 리플에 유리한 판결이 선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리플의 승소가 XRP의 가치가 1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지난달 리플의 가치가 40% 상승한 가운데, 블록체인 해외 송금 부문에서 리플의 라이벌을 자처한 스텔라루멘(Stellar Lumens, XLM)의 가치도 덩달아 상승하였다. 이에, 많은 투자자가 스텔라루멘에도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리플과 스텔라루멘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 출처: 썸트렌드

 

리플 vs 스텔라루멘, 언급량 추이는?

4월 4일부터 4월 10일까지 일주일간 리플은 122회, 스텔라루멘은 0회 언급됐다.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리플 vs 스텔라루멘, 이미지와 주요 감성어는?

리플의 이미지는 긍정 64%, 부정 18%, 중립 18%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승리하다’, ‘빠르다’, ‘저렴하다’, ‘잘 나오다’, ‘기대’, ‘이목 끌다’, ‘상승세 보이다’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의심하다’, ‘가격 오르다’, ‘낮은 수준’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달다’, ‘수수료 추가’, ‘압력’이 있다.

 

스텔라루멘은 긍, 부정 감성어가 없다.

 

리플·스텔라루멘 관련 주요 이슈

블록체인 뉴스 웹사이트 핀볼드는 전직 변호사이자 레이어 2 플랫폼 에버노드 XRPL(Evernode XRPL) 공동 창립자인 스콧 체임벌린(Scott Chamberlain)이 “SEC가 XRP를 증권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면, SEC와 리플의 소송은 오래 전에 해결되었을 것"이라며, “리플은 XRP를 투자 계약으로 판매했다”라고 주장했다.

 

또, 리플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변호사인 존 디튼(John E. Deaton)이 소속된 기업인 크립토로(CryptoLaw)도 리플의 국제 정책 고문인 수잔 프리드먼(Susan Friedman)이 공유한 게리 겐슬러(Gary Gensler) SEC 위원장의 동영상에 대한 논평에서 "이전에 체인에서 토큰을 판매한 사람에 대한 지식이나 관심, 권리도 없이 소비적인 용도로 2차 시장에서 토큰을 취득한 사람들에게는 암호화폐가 투자 계약이 될 수 없다"라고 전했다.

 

가상자산 전문 뉴스 플랫폼 비인크립토는 샌티먼트(Santiment) 데이터 분석 결과, XRP 토큰 100만 달러~1억 달러를 보유한 고래 집단이 지난 몇 주간 일련의 전략적 행보를 보였다고 보도했다. 3월 20일(현지 시각), XRP 토큰 가치가 24% 급등한 뒤 고래 세력이 24일까지 총 1억 7,800만 달러 상당의 XRP 토큰 4억 2,000만 개를 즉시 처분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시장의 낙관적 흐름이 사라지자 고래 세력이 XRP 토큰을 다시 보유하기 시작했다. 24일부터 4월 10일까지 고래 세력이 보유한 XRP 토큰은 약 2억 8,000만 개로 증가했다.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1억 4,000만 달러에 육박한다.

 

그와 동시에 XRP의 소셜 거래량은 3월 29일부터 4월 10일까지 68%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 뉴스 플랫폼 크립토뉴스 플래시에 따르면, 리플과 오픈소스 분산 장부 IOTA, 스텔라루멘은 ISO 20022 규정에 따라 SWIFT와 협력하기 위해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ISO 20022는 모든 금융 표준 이니셔티브에서 사용하기 위한 단일 표준화 접근 방식이다. 즉, 시장 구조, 금융 기관 및 은행 고객 간의 상호 운용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SWIFT는 2023년 3월부터 2025년 11월까지 고객이 ISO 20022 도입 여정의 각기 다른 단계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SWIFT 외에도 예탁결제원,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영란은행, 나이지리아 은행 간 결제 시스템(NIBSS) 등의 시장 인프라가 2022년에서 2025년 사이에 ISO 20022로 마이그레이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리플·스텔라루멘, 오늘의 시세는?

4월 11일 오후 3시 33분 코인마켓캡 기준 리플의 시세는 전일 대비 4.04% 상승한 0.5251달러이며, 스텔라루멘의 시세는 2.26% 상승한 0.1062달러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리플 CEO, X에 트럼프와 찍은 사진 게시...XRP 가격 반등하나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