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리서치 "IT전문가 중 86%, '크립토재킹' 등 사이버공격 우려"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0/04/01 [15:30]

리서치 "IT전문가 중 86%, '크립토재킹' 등 사이버공격 우려"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0/04/01 [15:30]


IT전문가들 사이에서 사이버 공격수법 중 하나인 '크립토재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는 싱가포르 유니콘기업 아크로니스(Acronis)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해 크립토재킹 등 사이버공격에 대한 우려 수준이 지난 한 해 동안 무려 33%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크립토재킹은 해커가 컴퓨터, 모바일기기 등에 악성코드를 몰래 심어 암호화폐를 채굴하고 이를 가로채는 사이버범죄를 뜻한다. 앱을 다운받거나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이런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IT전문가의 86%는 '크립토재킹' 공격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일반 이용자의 30%, IT전문가의 13%는 이러한 사이버공격으로 "자신의 데이터나 컴퓨터 리소스가 무단으로 수정·사용됐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또 피싱, 파밍 등 사회공학적 공격에 대한 우려는 87%,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우려는 88%, 데이터 침해 공격에 대한 우려는 91%에 달했다.

 

아크로니스는 사이버공격 위험성에 대한 높은 인식과 우려에도 그 대응은 미흡한 수준이라 지적했다.

 

보고서는 "귀중한 자료를 백업하고,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장한다"면서 "의심스러운 이메일, 웹사이트에 항상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크립토재킹 공격 사례가 점차 줄고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작년 미국 보안회사 멀웨어바이트는 크립토재킹이 거의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네트워크 보안업체 카스퍼스키랩 역시 지난 2019년 크립토재킹 공격이 전년 대비 59% 감소했으며 감염 컴퓨터는 563만대에서 225만대로 줄었다고 전했다.

 

지난 1월 인터폴은 "동남아 지역 크립토재킹 공격을 집중 단속한 결과, 작년 6월 대비 범죄율이 78% 감소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