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암호화폐 트레이더 리티카 트레이드(Reetika Trades)는 페페의 일부 개발자의 코인 매각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리티카 트레이드는 “페페는 어떠한 활용성도 약속하지 않은 밈코인이다. 따라서 일부 개발자의 행동은 페페 코인 자체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라며, “또, 최근 내부 거래 사태는 내부 거래를 한 페페 개발자가 추후 매각할 코인 수가 줄어든다는 의미이다. 장기적으로는 페페가 더 탄탄한 환경에서 거래될 것을 의미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페페가 근본적으로 어떠한 가치도 없는 밈코인으로 발행되었으며, 가치를 고정하는 기반이 없다”라며, “따라서 페페는 가격 변동성이 극도로 클 수밖에 없다. 페페와 같은 자산에 투자하는 이들의 투자 행위는 도박에 더 가깝다고 보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트레이더 호스(Horse)도 리티카 트레이드와 마찬가지로 일부 개발자의 매각 행위가 장기적으로 이익이 될 것으로 본다. 그는 “페페는 이번 매각과 함께 더 탄탄한 거래 환경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는 도지코인과 더 비슷해질 것이다. 페페 가격이 회복할 것으로 본다”라고 주장했다.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카이코(Kaiko)의 견해도 크게 다르지 않다. 카이코 연구팀은 페페가 폭락한 상황에서도 유동성 자체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카이코 연구팀은 “페페 내부자가 대거 매도에 나선듯한 흐름을 페페의 종말로 보기 어렵다”라고 전했다.
반면,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 플랫폼 샌티먼트(Santiment) 연구팀은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페페가 러그풀 의혹 여파로 암호화폐 거래량 1위를 차지했으나 트레이더는 페페의 변동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카레오(Kaleo)는 러그풀 의혹에 무게를 싣고, 페페의 종말을 바란다고 주장했다. 그는 내부 거래 사태 후 페페 팀이 새로운 방향을 발표했으나 페페 팀의 방관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