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빅데이터] 이더리움 경쟁자들...폴리곤(MATIC) vs 아발란체(AVAX) 트렌드
폴리곤(Polygon)은 30일(현지 시각), 폴리곤 체인 개발 키트인 ZK 기반 레이어 2 체인을 출시하며, 주목받았다. 폴리곤 체인 개발자 키트로 구축되는 체인 모두 상호운용성을 지니며, 이더리움(Ethereum, ETH)의 전체 유동성에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폴리곤과 함께 이더리움 라이벌 중 하나로 언급되는 아발란체(Avalanche, AVAX)는 온체인 분석 기관 난센(Nansen)이 이해 관계에 따라 아발란체에 편향된 보고서를 발행한 것으로 논란이 되었다.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크립토릭스는 난센의 보고서가 인용한 아발란체 블록체인 데이터는 봇이 생성하면서 실제보다 과장 평가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블록체인 분석 회사 인투더블록 데이터를 통해 폴리곤 보유 주소 95%, 아발란체 보유 주소 약 99%가 투자 손실을 기록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관련 기사: 카르다노·폴리곤·아발란체···"이더리움 경쟁자들, 보유 주소 대부분이 손실 중"
폴리곤과 아발란체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폴리곤 vs 아발란체, 언급량 추이는? 8월 28일부터 9월 3일까지 일주일간 폴리곤은 104회, 아발란체는 25회 언급됐다.
폴리곤의 이미지는 긍정 53%, 부정 45%, 중립 3%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즐기다’, ‘세계적’, ‘유명’, ‘호평 받다’, ‘인기 누리다’, ‘높은 수준’, ‘서비스 다양하다’, ‘신뢰 주다’, ‘요구 충족하다’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낮은 수준’, ‘손실’, ‘믿지 않다’, ‘위험 처하다’가 있다.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아발란체의 이미지는 긍정 35%, 부정 65%, 중립 %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새로운 기능’, ‘성장하다’, ‘활동성 있다’, ‘기대하다’, ‘관리하다’, ‘노력하다’가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낮은 수준’, ‘위험 처하다’, ’부족하다’가 있다.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폴리곤·아발란체 관련 주요 이슈 폴리곤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남미와 북미 대륙에서 글로벌 해커톤의 일환으로 ‘DevX Global Tour’와 길드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폴리곤 커넥트(Polygon Connect) 단독 초대 전용 행사이다. 행사는 9월 15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길드 리오(Guild Rio)를 시작으로 21일에는 길드 NYC(Guild NYC)와 22일에는 길드 부에노스아이레스(Guild Buenos Aires), 24일은 길드 보스턴(Guild Boston), 25일은 길드 애틀랜타(Guild Atlanta)가 진행된다. 그리고 30일에는 길드 샌프란시스코(Guild San Francisco)가 진행된다.
참가자는 최신 웹 3 기술을 간단히 배울 기회를 얻게 되며, 행사 연설자는 이더리움의 미래부터 폴리곤 zkEVM, 폴리곤 ID 등을 주제로 이야기한다.
블록체인 전문 뉴스 플랫폼 ZyCrypto는 독일 항공사 루프트한자가 폴리곤에서 NFT 로열티 프로그램을 발행했다고 보도했다. NFT는 라운지 이용권, 마일리지 적립 등과 같은 보상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보상은 ’Uptrip’이라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루프트한자 혁신 허브(Lufthansa Innovation Hub) 팀과 폴리곤 공식 웹사이트 모두 루프트한자 승객이 조만간 게임화된 비행 경험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크립토미스트는 아발란체의 현재 거래량은 1,214만 달러, 유통 공급량은 3,535만 개라고 설명했다. 아발란체 투자자의 평균 보유 기간은 71일로 관측됐다. 또, 현재 아발란체의 투기 심리는 중립인 것으로 관측됐다.
폴리곤·아발란체, 오늘의 시세는? 9월 4일 오후 3시 23분 코인마켓캡 기준 폴리곤의 시세는 전일 대비 0.13% 상승한 0.5444달러이며, 아발란체의 시세는 0.71% 하락한 9.9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