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레이어 2 생태계 평가..."다양한 기술 접근 방식 채택 이어갈 것"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부테린은 개인 블로그에 이더리움의 확장 생태계의 현재 동향을 분석한 글을 게재했다.
그는 일부 레이어 2 프로토콜이 확장 역량 강화, 비용 절감, 보안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접근 방식을 택한다고 설명했다.
또, 아비트럼(Arbitrum), 옵티미즘(Optimism), 스크롤(Scroll) 등이 최근 들어 이더리움 가상머신(Ethereum Virtual Machine, EVM) 도달 과정을 개척했으며, 카카롯(Kakarot), 타이코(Taiko)가 각각의 솔루션 보안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점을 강조했다. 폴리곤(Polygon, MATIC)을 비롯한 사이드체인 프로젝트도 자체 롤업 솔루션(rollup solution)을 개발했다고 언급했다.
부테린은 생태계 확장 기술을 주도하는 중요한 주체로 EVM과 거의 비슷한 zkSync, 아비트럼 스타일러스(Arbitrum Stylus), 영지식 증명 개척자인 스타크넷(Starknet)을 꼽았다.
그는 “레이어 2 프로젝트가 갈수록 다양해질 것이다. 기술적 다양성 증가 추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라며, “현재 독자적 레이어 1으로 존재하는 일부 프로젝트가 이더리움 생태계에 더 가까워지면서 레이어 2 생태계가 될 가능성도 있다”라고 예측했다.
부테린은 이더리움 프로젝트가 아닌 일부 중앙화 프로젝트가 사용자의 보안 보장 수준을 강화하면서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을 모색하고자 한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그동안 중앙화 프로젝트는 허가된 콘소시엄 체인을 모색하여 보안을 갖추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부테린은 게임, SNS 플랫폼 등 금융과 무관한 애플리케이션도 탈중앙화를 지향하지만, 보안 수준이 높지 않다는 점을 언급했다.
특히, SNS 사용 사례를 강조하면서 앱의 여러 부분에 별도의 기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부분에서 “사용자 등록 및 계정 복구 등 드물지만 가치가 높은 활동을 롤업으로 수행해야 하지만, 게시물이나 투표 등 자주 발생하는 활동은 가치가 낮고, 보안 필요성이 비교적 덜하다”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