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그리더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야후 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가격의 건강한 후퇴가 실제 강세장을 강화시킬 수 있다"며, 10만 달러 목표치를 유지했다. 다만 단기 변동성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
그는 "최근 비트코인 강세장은 정점에서 80% 붕괴로 이어졌던 2017년 강세장처럼 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시장이 앞으로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건강한 냉각기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2F(Stock to flow ratio, 자산의 희소성을 측정하는 지표) 모델 창안자인 플랜비(PlanB)도 "일주일 만에 25% 가량 폭락하고 전반적인 투자심리도 위축됐지만 비트코인의 불런(황소장) 행진은 새로운 정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2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플랜비는 트위터를 통해 "이번 하락세가 2013년과 2017년에 이미 본 중간 하락처럼 보인다. 직선으로 상승하는 것은 없다. 이번달까지 비트코인 가격은 6개월 연속 상승했다”며, "현재 불런이 끝날 때쯤 비트코인 가격은 코인당 28만 8천 달러로 정점을 찍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25일(한국시간) 오후 6시 30분 현재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BTC) 시세는 약 49,512달러를 기록 중이다. 시가총액은 약 9,306억 달러이다. 비트코인 도미넌스(시가총액 비중)은 51.0% 수준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