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JP모건은 "디파이 프로토콜에 락업된 암호화폐의 달러 가치는 지난해 약 200억 달러에서 2,000억 달러로 1,000% 상승했지만, 실제 락업된 이더(ETH) 물량은 지난해 11월부터 3,500만~4,000만 ETH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ETH 달러화 가치의 상승만이 반영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볼륨 측면에서 디파이는 1년간 약 50%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디파이가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메인스트림 투자자들에게 채택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며 "해킹 및 네트워크 공격에 대한 취약성, 리스크/수익 트레이드오프 평가 상의 어려움, 규제 리스크 등은 디파이가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장애물들이다"고 지적했다.
다만, JP모건은 "디파이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로, 시간이 지나며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한편 뉴욕 증시 상장사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최고경영자(CEO)는 12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캐롤라인 A 크렌쇼(Caroline A. Crenshaw)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이 발표한 디파이의 리스크, 컴플라이언스, 기회에 대한 내용은 매우 유익하다"며 "현재 컴플라이언스를 적용한 디파이 플랫폼은 없지만, 규제는 곧 생길 것이다"고 전망했다. 또한 그는 "유일한 투자 등급의 암호자산은 비트코인(Bitcoin, BTC)이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Digital Life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