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 14233호를 통해 ‘비트코인 전략비축(Strategic Bitcoin Reserve)’과 ‘디지털 자산 비축(Digital Asset Stockpile)’이 신설됐지만, 시장의 즉각적인 기대를 충족시키기엔 부족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장기적으로 비트코인(BTC)의 가치 상승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로 평가된다.
23일(현지시간) 투자 전문매체 더모틀리풀은 현재 미국 재무부의 금 보유량이 약 110억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비트코인 ETF 단일 상품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iShares 비트코인 트러스트(IBIT)는 482억 달러, 피델리티 비트코인 펀드는 165억 달러,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는 163억 달러 규모를 각각 운용 중이다. 이처럼 민간의 비트코인 보유 규모가 훨씬 큰 상황에서, 전략비축만으로 단기 가격을 움직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디지털 자산 비축은 비트코인을 제외한 이더리움(ETH), 엑스알피(XRP), 솔라나(SOL) 등 기타 암호화폐를 다루는 별도의 계정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재무부가 직접 이들 자산을 매입하는 것은 아니며, 법적 압류 등의 절차를 통해 보유가 추가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XRP와 SOL은 행정명령 서명 직후 가격이 하락했다.
한편, 전략비축은 "예산 중립(budget-neutral)" 방식을 통해 점진적인 매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금, 유로화, 엔화,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 등 현재 재무부가 보유 중인 외환자산 약 36억 8,000만 달러 규모는 향후 비트코인으로의 자산 재편에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이 자금은 세계 금융 안정성과 직결되는 만큼, 대규모 전환은 제한적일 수 있다.
더모틀리풀은 석유나 치즈 같은 타 부처 자산은 이번 행정명령과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에너지부가 보유한 전략 석유 비축량은 약 396백만 배럴(약 270억 달러 상당), 농무부의 치즈 비축은 약 78억 달러 수준이지만, 이는 재무부 소관이 아니기 때문에 활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전략비축 제도는 단기적인 폭등을 유도하긴 어렵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신뢰 기반을 형성하고, 점진적인 수요 확장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다. 급격한 변화는 없겠지만, ‘느린 불씨’는 시장에 남겨졌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