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뚜렷해지면서 주가지수 하락 압력이 커졌다.
3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8.12포인트(0.96%) 하락한 31,790.8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45포인트(1.10%) 내린 3,986.1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34.53포인트(1.12%) 떨어진 11,883.14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32,000선 아래로 추락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도 각각 4,000과 12,000선 밑으로 추락하며 주요 지지선이 붕괴한 모습이다.
다우지수는 한때 400포인트 넘게 하락하기도 했으나 장후판에는 약간 줄어 300포인트대의 하락폭을 유지했다.
S&P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1% 이상 빠졌다.
3대 지수는 최근 하락하면서 7월 이후 써머 랠리를 이어오는 동안 상승한 부분을 절반 가까이 반납했다.
지난주 잭슨홀 심포지엄 이후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실시되면서 투자심리는 빠르게 식었다.
현재는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가 아니지만 올해 안에 경기가 침체 국면으로 빠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도 했다.
인플레이션이 쉽게 억제되지 않을 경우 연준이 내년까지도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해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에 연준이 금리 인하로 전환할 가능성도 사실상 물 건너 간 상태다.
연준 긴축의 고통이 쉽게 가시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주식시장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미국 증시와 동조화가 심화되고 있는 암호화폐 시장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itcoin, BTC)은 31일(한국시간) 오전 7시 15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9,89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24시간 전 대비 1.55% 하락한 수치다. 전날 저가매수세 유입으로 2만달러선을 회복했지만 간밤 미 증시 하락에 다시 2만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알트코인 대장 이더리움(Ethereum, ETH)도 전날 1,600달러까지 올랐지만 현재는 상승폭을 반납하며 1,540달러에 머물러 있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24시간 전 대비 1.10% 감소한 9,712억 달러 수준이다.
한편 JP모건의 글로벌 수석 전략가 데이비드 켈리는 "단기 방향성을 찾기보다, 장기적인 가치투자가 유효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피해야 할 투자 자산으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와 대형 기술주를 꼽았다.
그는 이와 관련해 "현재 경제 상황을 보면 한 발은 경기 침체에 빠졌고, 다른 한 발은 바나나 껍질을 밟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가장 유효한 포지셔닝은 가치투자다. 주가수익비율이 낮은 미국 주식과 글로벌 가치주 비중을 높이고, 반대로 대형 기술주와 비트코인에서 빠져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추가 변동성이 있겠지만, 내년 말 경제는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