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놓친 세계 코인 이슈]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투자 이민, 출범 일주일 만에 신청 마감 임박 전망 外
이번 주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엘살바도르 정부의 비트코인 투자 이민 계획인 ‘자유 비자 프로그램(Freedom Visa)’의 인기가 화두가 되었다. 뉴욕주 정부와 가상자산 거래소 쿠코인(KuCoin)의 소송도 많은 이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이번 주 세계 각지에서 발표된 암호화폐 업계 소식을 아래와 같이 전한다.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자유 비자 프로그램’ 연내 마감 예상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엘살바도르 국립 비트코인 사무소가 ‘자유 비자 프로그램’이 연내 마감될 것으로 예측했다고 보도했다. 엘살바도르 정부와 테더(Tether, USDT)가 함께 진행하는 비트코인 투자 이민 계획인 ‘자유 비자 프로그램’은 12월 7일(현지 시각) 출범됐다.
해당 프로그램은 엘살바도르 정부에 보증금 999달러를 내고, 비트코인이나 USDT 100만 달러 투자를 약정한 1,000명에게 시민권을 부여한다. 자유 비자 프로그램은 출범 일주일도 되지 않은 13일(현지 시각), 연내 마감될 것이라는 전망이 발표될 정도로 전 세계에서 큰 관심을 끌어모았다.
엘살바도르 국립 비트코인 사무소 대변인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를 통해 자유 비자 프로그램 신청 문의가 쇄도했다고 전했다. 그는 “현재 인기로 미루어 보아 자유 비자 프로그램은 연말이면 판매가 마감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한편, 엘살바도르 정부의 비트코인 보좌관인 맥스 카이저(Max Keiser)는 11일(현지 시각), X(구 트위터)를 통해 엘살바도르 자유 비자 프로그램 신청자 수가 153명이라고 밝혔다.
쿠코인, 뉴욕 내 서비스 제공 중단 및 2200만 달러 지급 합의 로이터, 코인텔레그래프, 코인데스크 등 복수 외신은 가상자산 거래소 쿠코인이 뉴욕주 정부와의 소송에서 뉴욕대법원의 명령을 따른다고 12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쿠코인은 뉴욕에서 서비스 제공을 중단하고, 합의금 2,200만 달러를 지급한다는 조건에 합의했다.
쿠코인은 뉴욕 대법원 명령에 따라 120일 이내로 뉴욕에서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를 종료하고, 추후 뉴욕 시민이 계정을 생성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또한, 30일 이내로 가상자산 인출 서비스를 제한하고, 이후 90일 이내로 사용자의 인출 자금을 모두 지급한다.
합의금 총 2,200만 달러 중 530만 달러는 뉴욕주 정부에, 1,670만 달러는 뉴욕주 투자자에게 지급한다.
한편, 쿠코인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고객확인제도(KYC)나 자금세탁방지법 준수를 요구하지 않는 프라이버시 옹호 정책을 택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그동안 암호화폐 예금 입출금 서비스만 허용하고, 규정 준수를 위해 필요한 협력 은행을 두지 않았다. 게다가 검증되지 않은 계정에서 5BTC 이하의 자산을 출금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중국 정부, 블록체인 기반 신원 인증 계획 구상 코인텔레그래프, 코인데스크 등에 따르면, 중국블록체인 기업인 블록체인 서비스(BSN)이 12일 진행된 기자간담회 현장에서 정부와 함께 다양한 블록체인 활용 계획을 구상했다고 발표했다. BSN과 중국 정부가 구상한 블록체인 활용 계획 중 주요 계획은 중국 14억 인구의 실명 확인, 개인 데이터 암호화 보호 및 인증, 프라이빗 로그인, 기업 정체 확인, 개인 신원 정보 바우처 발행 등이다.
BSN은 중국인 누구나 DID 주소를 이용해 익명으로 온라인 포털에 등록과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개인과 기업 간 비공개 상태를 유지한 채로 거래와 데이터를 보관하도록 보장한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이번 소식을 보도하며, “중국 정부의 개인 감시 수준을 강화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악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