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크가 밈코인 시장에서 뜨거운 감자가 되기 전에는 페페(PEPE)가 도지코인의 자리를 위협할 만한 밈코인으로 주목받았다.
봉크와 페페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12월 19일부터 12월 25일까지 일주일간 봉크는 14회, 페페는 144회 언급됐다.
봉크의 이미지는 긍정 100%, 부정 0%, 중립 0%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강세’, ‘활발한 활동,’ ‘눈 띄다’, ‘입소문 타다’가 있다. 부정적인 표현과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페페의 이미지는 긍정 80%, 부정 15%, 중립 6%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즐기다’, ‘맛있다’, ‘고급스럽다’, ‘클래식하다’, ‘적합하다’, ’추천하고 싶다’, ‘진심’, ‘부드럽다’, ‘다양한 분위기’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덥다’가, 중립적인 표현은 ‘까다롭다’, ‘짜다’가 있다.
봉크·페페 관련 주요 이슈 암호화폐 전문 뉴스 웹사이트 유투데이는 봉크가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뒤 약 50% 급락했다고 보도했다. 트레이딩뷰(TradingView) 시세 차트를 보았을 때 봉크의 가격 흐름은 SNS 과장 홍보 및 투자 열풍과 함께 급등한 뒤 순식간에 급락한 대다수 밈코인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유투데이는 봉크의 가치가 급락한 것이 밈코인의 특성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일은 아니지만, 암호화폐 시장의 가격 변동성에 따른 손실 위험성을 일깨워준다고 설명했다.
26일, 코인게코는 2020년~2023년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에어드랍 금액 순위 책정 결과를 공개했다. 봉크의 에어드랍 금액은 총 13억 3,000만 달러로, 에어드랍 규모 순위 7위로 책정됐다.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코인피디아는 페페 호들러 다수가 강세 흐름 속에서도 투자 손실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인투더블록(IntoTheBlock) 데이터 기준 페페 투자 손실을 기록한 주소는 페페를 보유한 전체 지갑의 42%에 해당하는 7만 개로 추산됐다. 반대로 페페 투자 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 수는 47% 감소한 7만 7,000개이다.
현재 페페의 거래가는 20일 지수이동평균선(EMA)인 0.000001337달러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으나 최근 들어 20일 EMA가 상승하기 시작했다. 상대강도지수(RSI)는 과매도 구간에 가까운 상황이다. 이는 페페의 하락세를 암시한다.
현재 페페는 0.0000016달러 고점 인근에서 하향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황소 세력이 장악력을 유지하려면, 0.0000016달러를 돌파해야 한다. 이후 0.000002달러를 향한 새로운 상승 추진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다.
그러나 20일 EMA 추세선보다 낮은 수준에서 거래된다면, 약세 흐름이 강화되면서 매도 압박이 커질 것이다.
봉크·페페, 오늘의 시세는? 12월 26일 오후 4시 28분 코인마켓캡 기준 봉크의 시세는 전일 대비 0.38% 하락한 0.00001813달러이며, 페페의 시세는 1% 하락한 0.000001374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