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획기적인 양자컴퓨터 기술 돌파구로 인해 비트코인(BTC)의 암호 보안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투자업체 리버(River)는 최근 마이크로소프트가 공개한 첨단 양자컴퓨터 칩 '마요라나 1(Majorana 1)'이 향후 비트코인 보안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칩은 하나의 칩에 최대 100만 개의 큐비트(Qubit)를 구현할 수 있으며, 양자컴퓨터의 실용화를 앞당길 기술로 평가된다.
유투데이는 리버의 분석을 인용해 "100만 큐비트 수준의 양자컴퓨터가 실제 운영되면 며칠에서 몇 주 이내에 비트코인 주소를 크랙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며 "이 경우 장기 공격(Long-range attack)으로 인해 상당수의 비트코인 주소가 뚫릴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큐비트 수가 수억 개에 달할 경우 약 590만 BTC가 즉각적인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00만 큐비트 달성을 2030년까지 이룰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대규모 산업 문제 대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에 대해 유투데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번 혁신으로 대규모 양자컴퓨터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커졌으며,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산업은 지금부터 이에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구글(Google)의 양자 칩 '윌로우(Willow)' 발표 당시에도 비트코인 암호화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으나, 당시 전문가들은 현실적인 위협으로 보지 않았다. 하지만 유투데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번 발표는 현실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며 "비트코인의 양자컴퓨터 이후(Post-quantum) 시대 보안 대책에 대한 논쟁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투데이는 비트코인 생태계가 양자컴퓨터 위협을 조기에 해결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심각한 보안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를 전하며, 향후 이 문제가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