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22일 블록체인 업체 동향]아이콘루프, 포르테, 템코, 로커스체인, 알파콘 外

김진범 | 기사입력 2019/02/22 [10:28]

[22일 블록체인 업체 동향]아이콘루프, 포르테, 템코, 로커스체인, 알파콘 外

김진범 | 입력 : 2019/02/22 [10:28]

 

아이콘루프, AWS 파트너 네트워크(APN) 어드밴스드 기술 파트너 선정

 

아이콘루프(대표 김종협)가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 파트너 네트워크(AWS Partner Network, APN)의 어드밴스드 기술 파트너(Advanced Technology Partner)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APN 기술 파트너는 AWS 플랫폼에서 구동되거나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협력사다. AWS상에서의 제품 상태, 고객 참여, 전반적인 비즈니스 투자를 기반으로 ▲레지스터드(Registered), ▲스탠다드(Standard), ▲어드밴스드(Advanced) 등의 성과 티어를 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아이콘루프가 획득한 어드밴스드 등급은 기술력 및 시스템 구축 역량, 서비스 전문성 등을 인정받은 파트너에게만 부여된다. 이번 선정에 따라 아이콘루프는 AWS로부터 고객 기회 우선권을 제공받게 되며, AWS의 풍부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파트너 성공사례 게재, 웹 세미나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게임 개발자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포르테’ 설립

 

블록체인 기술 기업 포르테(Forte)가 비디오 게임 및 플랫폼 기술 개발 전문가로 구성된 창업 팀을 발표하며 공식 설립을 알렸다. 포르테의 창업 팀은 카밤(Kabam), Gen.G e스포츠, 가라지게임스(GarageGames), 유니티(Unity) 및 린든랩(Linden Lab) 출신으로 다양한 경험을 지닌 게임 업계 리더로 구성된다. 포르테(Forte)는 게임 개발자들이 신규 및 기존 게임 내에서 P2P(Peer to Peer·개인 간) 경제를 실현하는 블록체인 기술 채택을 가속화할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포르테 창업 팀은 게임 업계에서 다수의 선도적인 기술 플랫폼과 전 세계 수억 명이 즐기는 게임을 개발한 이력을 갖고 있다. 포르테는 유망 팀 및 프로젝트를 구축, 양성, 지원하여 이를 시장에 선보일 것이다.

 

템코 블록체인 기술 적용, 베트남 식품 시장 국산 식품의 수출확대 온 힘

 

식품의 제조 및 유통 과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요즘, 블록체인 기술을 식품 이력 관리에 도입하고자 하는 국내 식품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올해 본격적으로 수출용 신규 국내산 조미김과 생수를 생산해 베트남 시장에 진출 예정인 한미래식품과 동의 초석잠도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템코(TEMCO)의 블록체인 기술을 제품에 적용하고자 한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제품 생산과정부터 수출에 이르는 생산 및 유통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자사 제품의 품질적 우위를 공고히 하려는 취지이다. 템코의 윤재섭 대표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제품이력 관리로 제품 신뢰도 향상에 따른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블록체인 이력 인증은 향후 상품에 대한 위생, 안전 신뢰도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헬스케어 분야 메인 기축 플랫폼으로 발돋움 '알파체인' 프로젝트 런칭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알파콘 네트워크 파운데이션(대표 함시원)이 ‘알파체인(Alpha-Chain)’을 런칭하고 알파콘 메인넷 코인을 기축으로 하는 첫번째 프로젝트로 ‘알파푸드(Alpha-Food, 대표 권춘행)’를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알파체인 프로젝트는 알파콘 메인넷 코인(ALP Main-Net Coin)을 기축으로 진행 하는 프로젝트이다. 알파체인의 첫 번째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알파푸드(AlphaFood)’로 생산, 가공, 유통 전 단계를 투명하게 공개해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먹거리 제공 및 영양소 분석을 통해 품질 높은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텔레콤, 도이치텔레콤과 모바일 블록체인 신분증 개발 추진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019)’ 기간 중 바르셀로나 현지에서 도이치텔레콤 산하 연구소인 T-랩스(T-Labs)와 블록체인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가 협력하기로 한 모바일 블록체인 신분증은 일종의 디지털 신분증으로, 신원 확인, 출입 통제, 각종 거래 및 계약 등 본인 확인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양사는 모바일 블록체인 신분증을 상용화하고, 이를 활용해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는 데 협력할 계획이다.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인증유닛장은 “모바일 블록체인 신분증이 향후 출입관리, 온·오프라인 로그인, 각종 계약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며,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블록체인을 통한 ICT 분야 혁신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MWC2019 행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현지시간으로 오는 25일부터 28일까지 열린다.

 

▲ 모바일 블록체인 신분증 소개     © 코인리더스


 

로커스체인, ‘DAG -BFT 확정 합의 알고리즘’ 블록체인 기술 구현 성공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로커스체인의 개발을 주관하고 있는 블룸테크놀로지는 방대한 확장성과 익명 참여자의 공격에 대한 방어 능력을 구조적으로 내재해야 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DAG 원장 구조와 확정 합의 방식인 BFT(Byzantine Fault Tolerance)를 접목한 AWTC(Account-Wise Transaction Chain) - BFT 컨센서스(Consensus: 합의) 알고리즘을 구현했다고 22일 밝혔다. 한편 로커스체인 파운데이션은 싱가포르의 본사와 중동의 두바이, 아프리카의 모리셔스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중동,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산업을 위한 기본 기술 및 결제 통화로 사용하는 내용의 제휴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또한 콩고, 말라위, 모리셔스 등 다수의 아프리카 국가의 정부 기관과도 전자 정부, 금융, 자원 등의 산업 분야와 관련한 협약을 체결했으며 그래픽카드 제조사로 유명한 대만의 리드텍과 의료 IoT 블록체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