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G7 재무장관회의 "페북 암호화폐 리브라, 강력한 규제 필요" 공감대 형성

이선영 | 기사입력 2019/07/19 [07:36]

G7 재무장관회의 "페북 암호화폐 리브라, 강력한 규제 필요" 공감대 형성

이선영 | 입력 : 2019/07/19 [07:36]

 

주요 7개국(G7)이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리브라(Libra)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데 대체적인 공감대를 이뤘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최근 프랑스 북부 샹티에서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 7개 국가의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모여 리브라가 규제 문제를 선결해야 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했다.

 

G7은 성명에서 "리브라 같은 프로젝트들이 통화 주권과 국제통화시스템의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새 암호화폐 도입 여건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 출처: Alexandra Brzozowski 트위터     © 코인리더스



이틀간 진행되는 G7 재무장관 회의 첫날, 프랑스 브뤼노 르 매르(Bruno Le Maire) 재무장관은 리브라에 대해 발언하며, "국가 주권이 위협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

 

독일 울라프 슐츠(Olaf Scholz) 재무장관도 리브라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계획같다”고 지적하며, "데이터 보안 문제도 있다"면서 "규제기관들이 리브라에 대해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 법률·규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는 리브라는 진행될 수 없다"고 말했다.

 

브느와 꾀레(Benoit Coeure) 유럽중앙은행 집행이사는 "리테일 목적의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은 보다 빠르고 저렴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결제 산업의 경쟁을 유도해 추가적인 비용 절감과 원활한 금융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면서도 "암호화폐가 자금 세탁, 테러 자금 원조, 개인정보 유출, 탈세 등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프랑수와 빌로이 드 골로(Francois Villeroy de Galhau)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는 "각국 당국은 혁신을 장려하면서도 소비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페이스북 리브라로 인해 발생하는 '회색지대(gray aspect, 규제 등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를 해소할 수 있는 세부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일본 중앙은행의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Kuroda Haruhiko) 총재는 "리브라가 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앞으로 G7의 태스크포스가 여러 국가 규제기관으로 확대돼야 할 것"이라며 "리브라가 전 세계에서 사용될 것이라면, G7에서만 논의할 부분은 아니다. 국제적인 공동 대응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