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비트코인(BTC)을 중심으로 한 암호화폐 친화적 행정부를 구성하며,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는 미국이 보유한 비트코인을 판매하지 않고 국가적 자산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미국 경제를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1일(현지시간) USA 투데이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정부는 법적 압수 등을 통해 약 20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방 정부는 필요에 따라 이를 판매해왔다. 트럼프는 이러한 판매를 중단하고 '핵심 비축'을 구축해 공급 제한을 통해 비트코인 가격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와이오밍주 공화당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는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안을 통해 미국이 1백만 BTC(전체 비트코인의 약 5%)를 20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루미스는 이를 위해 연방준비제도(Fed)의 금 증서 재평가를 통해 약 110억 달러를 조달할 것을 제안했다.
루미스는 비트코인 비축이 단기적 변동성을 넘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가치 저장소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국의 36조 달러 국가 부채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변동성과 보안 취약성을 주요 위험 요소로 지적하고 있다. 만약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할 경우, 이는 납세자들에게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오펜하이머의 애널리스트 오웬 라우(Owen Lau)는 비트코인 비축이 단순히 보유를 유지하는 것은 쉬울 수 있지만, 이를 적극적으로 매입하려면 의회의 승인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로서는 의회에서 이에 대한 충분한 지지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은 비트코인 보유가 연준의 권한 범위를 벗어난다고 언급하며, 법 개정 가능성을 배제했다.
비트코인 비축 논의는 미국 경제와 암호화폐 시장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계획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실행 가능성과 경제적 위험이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