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비트코인, 트럼프 관세 유예와 물가 둔화로 살아날까? 전문가 시각은 엇갈려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5/04/11 [15:20]

비트코인, 트럼프 관세 유예와 물가 둔화로 살아날까? 전문가 시각은 엇갈려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5/04/11 [15:20]
트럼프, 관세, 비트코인/챗GPT 생성 이미지

▲ 트럼프, 관세, 비트코인/챗GPT 생성 이미지     ©

 

11일(현지시간) 투자 전문매체 FX스트릿에 따르면, 비트코인(BTC)은 3월 CPI(소비자물가지수) 하락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에도 불구하고 3% 하락하며 8만 달러 아래로 밀렸다. 암호화폐 시장은 같은 날 5% 이상 급락했고, 시장 전문가들은 이 조치들이 비트코인의 장기 반등을 이끌 촉매로 보기에는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앰버데이터(Amberdata)의 마이크 마셜(Mike Marshall) 연구 책임은 “이번 CPI 수치는 단기적 착시일 수 있다”며, 관세의 실질적 인플레이션 효과는 재고 버퍼로 지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은 잘못된 낙관론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매크로 환경은 여전히 약세장 분위기이며, 구조적인 경기 침체 우려가 장기적으로 디지털 자산에 부담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트파이넥스(Bitfinex) 분석가들 또한 “관세 유예는 단기적인 시장 진정에는 도움이 됐지만, 근본적인 자금 유입 촉진 효과는 부족하다”며 “연준(Fed)의 스탠스 변화나 유동성 확장 같은 보다 강력한 신호 없이는 비트코인으로의 자산 회귀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글래스노드(Glassnode)에 따르면, 올해 초 1,000억 달러에 달했던 비트코인 자금 유입은 현재 60억 달러 수준으로 90% 이상 급감했다.

 

반면, 두로랩스(Douro Labs)의 마이크 케일(Mike Cahill) CEO는 “채권시장 붕괴와 낮은 CPI 수치는 전통 금융 시스템이 구조적으로 위기에 처해 있다는 신호”라며 “장기적으로 이는 암호화폐로의 자본 재배치를 촉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정치에 휘둘리지 않는 24/7 운용 인프라로서의 암호화폐의 존재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언체인드(Unchained)의 리서치 책임 조 버넷(Joe Burnett)도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그는 “재정 지배(fiscal dominance)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는 환경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하드 자산으로서 비트코인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전통 자산 대비 상대적 우위를 전망했다.

 

비트코인 ATM 기업 비트코인디팟(Bitcoin Depot)의 COO 스콧 뷰캐넌(Scott Buchanan)은 “인플레이션 둔화, 관세 유예, 채권시장 하락이라는 조합은 비트코인을 더 이상 위험한 투기수단이 아닌 장기 헤지 수단으로 보이게 만든다”며, “기존 시스템에 대한 회의감이 비트코인 수요를 밀어올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엘살바도르에 두 번째 사토시 동상… 비트코인 창시자의 상징성 확산
이전
1/5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