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에서 암호화폐 채굴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을 겨냥한 ‘클린 클라우드 법안(Clean Cloud Act)’ 이 발의되며, 비트코인(BTC) 채굴 산업에 거센 규제 바람이 불고 있다.
4월 13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AMB크립토에 따르면, 셸든 화이트하우스(Sheldon Whitehouse)와 존 페터먼(John Fetterman) 상원의원이 공동 발의한 해당 법안은 과도한 탄소 배출을 유발하는 데이터센터에 대해 미 환경보호청(EPA)이 CO₂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력망 부담, 전기요금 상승, 탄소배출 급증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암호화폐 업계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반에크(VanEck)의 리서치 총괄 매튜 시겔(Matthew Sigel)은 “해당 법안은 사실상 비트코인 채굴자를 선택적으로 겨냥한 불공정 규제”라며 비판했고, 일부 커뮤니티 사용자들은 “해당 법안은 실현 가능성도 낮고, 대법원 판결 없이는 실제 집행도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제는 법안의 민주당 단독 발의라는 점이다. 공화당의 반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도했던 AI·암호화폐 산업 육성 기조가 다시 힘을 받을 경우 해당 법안은 실제 입법화까지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법안은 시기적으로도 주목된다. 미국 주요 채굴업체인 갤럭시(Galaxy), 테라울프(Terawulf)가 최근 AI 고성능 컴퓨팅(HPC) 분야로 방향을 전환한 시점과 맞물리며, 규제 회피 및 수익 다변화를 시도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편, 미국 내 장비 비용 증가와 규제 압력에 따른 채굴 수요 위축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해시랩스(Hashlabs) CEO 자란 멜러루드(Jaran Mellerud)는 “이로 인해 채굴 장비 공급업체가 재고를 해외로 내보내게 될 수 있다”며, 글로벌 채굴 활동의 중심이 미국 외 지역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실제로 파키스탄은 잉여 전력을 활용한 비트코인 채굴 및 AI 데이터센터 확대 전략을 펼치며, 미국과 정반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미국의 규제가 글로벌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신호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