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현지시간) 투자 전문매체 더모틀리풀에 따르면, XRP는 솔라나(Solana), 이더리움(Ethereum)과 달리 밈코인 생태계가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이는 오히려 장기 투자자에게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XRP의 정체성이 ‘밈코인 카지노’가 아닌, 실질적인 금융 기술 플랫폼으로 확립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모틀리풀은 XRP가 범용 플랫폼이 아닌 ‘국경 간 결제’라는 명확한 목적을 중심으로 설계됐으며, 최근에는 미 국채, 부동산, 원자재 같은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에 담기 위한 XRPL(리플 레저) 기반 활용도도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리플(Ripple)이 프라임 브로커를 인수해 기관 대상 종합 금융 인프라 구축에 나선 것도 이 전략의 일환이다.
XRP 체인에는 최근 AMM(자동화된 시장 조성자) 기능이 도입되었고, 앞으로는 스테이블코인 같은 금융상품도 탑재될 가능성이 있지만, 여전히 밈코인 관련 시가총액은 약 5,800만 달러 수준에 그친다. 이는 전체 XRP 시총 1,235억 달러 대비 극히 미미한 수치다. 참고로, 솔라나의 밈코인 생태계는 전체 시총 663억 달러 중 72억 달러를 차지하며 훨씬 높은 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더모틀리풀은 이처럼 XRP에 밈코인이 적다는 점이 오히려 체인 내 거래량 분석을 더 신뢰 가능하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밈코인 거래로 발생하는 ‘노이즈 거래량’이 적기 때문에, 실제로 금융기관이 XRP를 활용해 송금하거나 자산 이전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더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XRP의 생태계가 밈코인 중심이 아닌 점은 투자자 신뢰 확보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단기 급등락을 유도하는 저품질 코인들이 시장 서사를 흐리는 대신,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나 실제 금융 도입 사례 등 구조적 강점에 초점이 모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더모틀리풀은 “XRP의 밈코인 부재는 전략과도 정확히 일치하는 구조”라며, 향후에도 이 균형이 유지된다면 XRP는 기관 중심 블록체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계속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밈코인 유입 조짐이 보일 경우, 투자자들은 이를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