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현지시간)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페이스북 리브라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데이비드 마커스(David Marcus)는 최근 금융권 세미나에서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는 여전히 더욱 효율적인 결제 시스템 구축이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안적인 접근 방식들을 고려할 것"이라 말했다.
데이비드 마커스는 "프로젝트를 다른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며, "합성 단위를 만드는 대신 달러 스테이블 코인, 유로 스테이블 코인, 영국 파운드 스테이블 코인 등 여러 스테이블 코인을 둘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어 "여러 종의 스테이블 코인으로 법정화폐를 토큰화된 디지털 형태로 표시하는 방안으로 고려해야 할 여러 옵션 중 하나"라 덧붙였다.
그는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우리의 미션이며, 여기에 도달하기 위한 수많은 방법들이 있다"면서 리브라가 수많은 반대와 우려 속에서도 기민하게 대응할 것을 강조했다.
페이스북의 글로벌 합성 화폐 생성 계획, 즉 '리브라 프로젝트'가 발표되자 글로벌 정책 입안자들과 규제 기관들은 금융 시스템 및 이용자 프라이버시를 위협하고, 자금 세탁 위험성이 높아진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최근 G20 국가 금융 수장들은 암호화폐에 대한 엄격한 규제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 글로벌 리스크(위험)을 해소하기 전까지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해선 안 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리브라는 이달 초 중요한 초기 회원사였던 마스터카드, 비자를 포함한 총 7개 기업이 프로젝트를 이탈해 계획 진행에 큰 차질이 생겼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페이스북은 당초 예정이었던 내년 6월 출시를 목표로 두고 있다.
데이비드 마커스는 출시 일정에 대해 "법적 우려를 해소하고 관련 승인을 얻어야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모든 게 리브라 측에 달려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규제 장벽으로 출시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면서도 “지켜봐야 할 사안이지만 여전히 그 목표(6월 출시)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