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코인 빅데이터] 해외송금 암호화폐, 올해 강세장 펼칠까...리플(XRP) vs 스텔라루멘(XLM) 트렌드

고다솔 기자 | 기사입력 2024/01/16 [16:01]

[코인 빅데이터] 해외송금 암호화폐, 올해 강세장 펼칠까...리플(XRP) vs 스텔라루멘(XLM) 트렌드

고다솔 기자 | 입력 : 2024/01/16 [16:01]

▲ 리플(XRP)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비트코인(Bitcoin, BTC)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후 대표적인 해외송금 암호화폐인 리플(Ripple, XRP)도 출시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리플 현물 ETF 출시 확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리플은 횡보세를 유지하고 있다.

 

덩달아 일각에서는 리플 현물 ETF 출범 가능성과 함께 해외송금 암호화폐 부문에서 리플의 라이벌을 선언한 스텔라루멘(Stellar Lumens, XLM)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리플랩스(Ripple Labs)와 스텔라 재단 CEO 모두 1월 18일(현지 시각), 다보스에서 개최되는 세계경제포럼 참석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사실이 확인되었다.

 

리플과 스텔라루멘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 출처: 썸트렌드


리플 vs 스텔라루멘, 언급량 추이는?

1월 9일부터 1월 15일까지 일주일간 리플은 242회, 스텔라루멘은 2회 언급됐다.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리플 vs 스텔라루멘, 이미지와 주요 감성어는?

리플의 이미지는 긍정 77%, 부정 16%, 중립 7%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기대’, ‘정상적’, ‘상승세 보이다’, ‘수수료 낮다’, ‘성장하다’, ‘긍정적’, ‘안정적’, ‘강세’, ‘높은 인기’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매수하다’, ‘부정적’, ‘손실’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달다’가 있다.

 

스텔라루멘의 이미지는 긍정 100%, 부정 0%, 중립 0%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혜택 누리다’가 있다. 부정적인 표현과 중립적인 표현은 없다.

 

리플·스텔라루멘 관련 주요 이슈

암호화폐 전문 매체 크립토베이직은 리플랩스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가 세계경제포럼에서 연설한다는 소식을 보도했다.

 

세계경제포럼 공식 웹사이트에는 “암호화폐 분명히 이해하기”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포럼이 개최되며, 포괄적인 금융 및 암호화폐 생태계 내 여러 투자자가 참석할 것이라는 안내가 게재되었다.

 

매체는 갈링하우스의 세계경제포럼 참석 소식을 전하며, 리플이 암호화폐 분야 인식 수준을 높이는 데 승리했음은 물론이고, 암호화폐 업계가 최근 성숙도를 갖추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는 금융 전문 기자 찰스 가스파리노(Charles Gasparino)가 리플 커뮤니티를 조롱한 소식을 보도했다. 가스파리노 기자는 다보스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는 리플 커뮤니티가 추진하는 음모론을 논의하는 세상이 펼쳐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리플 현물 ETF 출범 가능성을 두고 야심 찬 견해를 밝힌 블랙록 CEO 래리 핑크(Larry Fink)의 발언을 두고, 핑크가 리플이 실제로 무엇인지 제대로 알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가스파리노 기자는 이전에도 리플 커뮤니티 일부 구성원이 제시한 음모론을 비판하는 등 리플 커뮤니티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여러 차례 밝혔다.

 

블록체인 뉴스 플랫폼 비트코인뉴스는 15일(현지 시각), 스텔라루멘이 0.1265달러 저항선을 돌파하는 데 난항을 겪었다고 보도했다. 이후 스텔라루멘은 상승세를 재개하지 못한 탓에 새로운 하락세를 시작했다.

 

스텔라루멘은 0.122~0.12달러 구간 아래로 하락했다. 하락세는 0.118달러 아래 수준에서 거래가를 형성하고, 0.1162달러 인근에 저점을 형성한 뒤 가격 통합을 시작했다.

 

스텔라루멘은 핵심 강세 추세선이 형성된 0.1185달러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즉각 저항선은 0.1262달러 고점에서 0.1162달러 저점으로 향하는 피보나치 50% 되돌림 선과 가까운 0.1215달러에 형성됐다. 다음 핵심 저항선은 0.124달러나 0.1262달러 고점에서 0.1162달러 저점으로 향하는 피보나치 76.4% 되돌림 선 인근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0.124달러를 돌파한다면, 0.13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0.135달러를 향해 추가 상승세를 추진할 수도 있다.

 

반대로 0.1215달러 저항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0.1185달러에 즉각 지지선이 형성되면서 상승 전망이 무효가 될 것이다. 하락세가 이어진다면, 0.1145달러, 0.11달러 순으로 하향 지지선이 형성될 확률이 높다.

 

리플·스텔라루멘, 오늘의 시세는?

1월 16일 오후 3시 52분 코인마켓캡 기준 리플의 시세는 전일 대비 1.37% 하락한 0.5729달러이며, 스텔라루멘의 시세는 1.09% 하락한 0.1184달러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