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과 리플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1월 12일부터 1월 18일까지 일주일간 이더리움은 490회, 리플은 227회 언급됐다.
이더리움의 이미지는 긍정 62%, 부정 30%, 중립 8%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기대’, ‘강세’, ‘상승세 보이다’, ‘개선하다’, ‘보상’, ‘무료’, ‘승인 받다’, ‘주목 받다’, ‘안전하다’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폭등하다’, ‘부담’, ‘멀다’가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급등하다’가 있다.
리플의 이미지는 긍정 58%, 부정 29%, 중립 13%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기대’, ‘상승세 보이다’, ‘안정적’, ‘이쁘다,’ ‘좋다’, ‘성장하다’, ‘긍정적’, ‘웃다’, ‘정상적’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매수하다’, ‘한계 있다’가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달다’, ‘가능성 낮다’가 있다.
이더리움·리플 관련 주요 이슈 화웨이 클라우드는 19일, X(구 트위터)를 통해 웹 3 노드 엔진 서비스(NES) 정식 상용화 소식을 발표했다. 화웨이 클라우드의 NES는 이더리움, 트론(Tron, TRX), 폴리곤(Polygon, MATIC), BNB 체인, 아비트럼(Arbitrum, ARB) 등 8개 체인을 지원한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18일(현지 시각), SEC가 피델리티의 이더리움 현물 ETF 신청을 연기한 소식을 보도했다. SEC는 제안된 규정 변경 및 제기된 문제를 고려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자 피델리티의 ETF 신청 심사 기한을 45일 연장한다고 안내했다.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는 SEC의 발표 이후 “올해 5월 말이 진짜 중요한 시기라고 본다”라고 전했다. 또한, 5월 23일(현지 시각)이 반에크(VanEck)의 이더리움 현물 승인 여부 발표 기한이라는 점에도 주목했다.
찰스 가스파리노(Charles Gasparino) 폭스 비즈니스 기자는 19일(현지 시각), X를 통해 내부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블랙록이 리플 현물 ETF를 출시할 계획이 엇다고 전했다. 가스파리노 기자는 15일(현지 시각)에도 블랙록 CEO 래리 핑크(Larry Fink)와 인터뷰했을 당시 핑크가 리플 현물 ETF 출시 계획을 대답할 수 없다고 말한 사실을 전했다.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는 18일(현지 시각),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를 비롯한 신기술의 악용 위험성을 인정하면서도 큰 이점도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악의적인 세력은 새로운 기술이 무엇이든 악의적인 의도로 이용할 것이다. 암호화폐의 긍정적인 영향력과 잠재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해싿.
이어서 리플은 정식 금융 기관만 협력사로 두고 있으며, 익명 거래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도 덧붙여 전했다.
한편, 브래드 갈링하우스의 이번 발언은 “가치와 활용성이 있는 암호화폐와 그렇지 않은 암호화폐가 있다. 비트코인(Bitcoin, BTC)은 후자에 해당한다”라는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의 주장을 언급한 뒤 나온 발언이다.
이더리움·리플, 오늘의 시세는? 1월 19일 오후 4시 1분 코인마켓캡 기준 이더리움의 시세는 전일 대비 2.45% 하락한 2,469.41달러이며, 리플의 시세는 2.63% 하락한 0.5507달러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