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봇 코리 기자의 시세 읽기]15일 "비트코인 3,700달러 회복, 트론 급등"…조셉 영 "올해 최대 이슈, ETF 아닌 푸틴의 BTC 매수"
빗썸 암호화폐(가상통화) 거래소 1월 15일 오전 7시 20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137,000원 (3.46%) 상승한 4,100,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해외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글로벌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4.28% 상승한 3,70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약 56억 달러이다.) 비트코인캐시는 9,000원 (6.47%) 상승한 148,000원에 매도 매수세가 공방을 벌이고 있고, 비트코인골드는 4.74% 상승한 13,690원을 기록하고 있다.
가격 상승폭을 보면 체인링크 (20.9%) 스트라티스 (20.67%) 트론 (16.03%) 질리카 (11.11%) 이더리움 (10.54%) 아이앤에스 (10.53%) 룸네트워크 (9.89%) 이오스 (9.44%) 비체인 (7.56%) 버지 (7.53%) 솔트 (7.52%) 엘프 (7.21%) 애터니티 (7.12%) 오디세이 (7.05%) 월튼체인 (6.53%) 비트코인 캐시 (6.47%) 왁스 (6.4%) 제로엑스 (6.31%) 프리마스 (6.31%) 미스릴 (6.21%) 아이콘 (6.17%) 순으로 높았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제트캐시 (859,920,275,248원) 대시 (546,625,309,451원) 비트코인 골드 (328,517,557,341원) 오미세고 (76,764,240,436원) 모네로 (32,271,652,016원) 이더리움 (30,083,651,858원) 트론 (29,639,084,167원) 리플 (22,113,382,463원) 비트코인 (17,647,507,769원) 이오스 (7,992,505,360원) 비트코인 캐시 (7,058,370,917원) 비트코인에스브이 (4,497,184,262원) 체인링크 (2,756,840,007원) 웨이브 (2,452,313,778원) 더마이다스터치골드 (1,512,544,286원) 순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지난 24시간 동안 세계 최대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TC) 가격은 3,700달러선을 회복했다. 비트코인이 4% 가량 오름세를 보여주면서 주요 알트코인도 대부분의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톱10 코인 중에는 이더리움(ETH, 시총 3위), 이오스(EOS, 시총 5위)는 10%, 트론(TRX, 시총 9위)은 17% 넘게 급등했다. 이에 따라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약 1,240억 달러대까지 회복했다. (※관련 기사: 비트코인 약세장에 트론 강세 지속…비트토렌트 토큰·niTROn 서밋 등 긍정적 소식 잇따라 )
전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이더리움월드뉴스에 따르면 미국 자산운용사 모건 크릭 디지털 에셋(Morgan Creek Digital Assets) 창업자인 앤서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는 "비트코인이 더 이상 추락할 것 같지 않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팜플리아노는 이같이 밝히면서 "비트코인이 곧 바닥을 찾을 가능성이 있지만 비트코인 및 다른 암호화폐들이 2019년에 급격한 회복(drastic recovery)을 시작할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했다. 은행에 대해 회의적이며 분권주의자인 팜플리아노는 "비트코인이 더 하락하는 대신 올해 상당 기간 동안 2,500~4,500달러에서 거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날 암호화폐 시장에는 긍정적인 소식이 이어졌다. 먼저 미국 유력 경제 미디어 포춘지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소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 거래소 그룹인 인터컨티넨털익스체인지(ICE) 산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백트(Bakkt)가 공식 채널을 통해 미국 유명 선물 및 옵션상품 중개사 로젠탈 콜린스 그룹(Rosenthal Collins Group, RCG)의 자산을 부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백트의 CEO 켈리 로플러는 “이번 자산 인수는 플랫폼 개발과 관련하여 가치 있는 자산을 확보하려는 목표의 일환”이라며 "RCG의 자산 인수가 백트의 위험 관리 및 재무 운영 역량을 강화할 뿐 아니라 자금 세탁 방지 (AML) 및 고객 파악(KYC) 정책 등 규제 요구 사항의 준수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 경제 전문 온라인 미디어 파이낸스매그네이츠에 따르면, 최근 미국 최대 외환중개사 FXCM 그룹이 이더리움 차액결제거래(CFD) 상품을 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렌든 칼란(Brendan Callan) FXCM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앞서 출시한 비트코인 CFD의 긍적적인 시장반응과 고객들의 수요에 따라 이더리움 CFD 상품을 출시했다. 향후 추가적인 암호화폐 CFD 상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폰토벨 관계자는 "현지 규제 기관의 요구와 금융 중개 기관으로서의 표준을 준수하는 프라이빗 뱅킹이 출시한 암호화폐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전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스위스 취리히 기반의 프라이빗 뱅킹 그룹 폰토벨(Vontobel)이 현지 은행과 자산 관리 업체를 타깃으로한 암호화폐 자산 커스터디(수탁) 솔루션을 출시했다. 해당 솔루션(디지털 에셋 볼트, digital asset vault)을 통해 시중 상업 은행과 자산 관리 회사들은 고객들에게 암호화폐 자산 구매, 이체, 보관 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가 텔레그래프지를 인용, 러시아 크렘린궁 경제학자 블라디슬라브 긴코(Vladislav Ginko) 교수가 최근 "러시아는 미국 제재에 대항하기 위해 외환 보유고 중 100억 달러를 비트코인(BTC)에 투자할 계획"이라며 "해당 조치가 오는 2월 시작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유명 암호화폐 투자자이며 분석가인 조셉 영(Joseph Young)은 "올해의 최대 이슈는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비트코인 매수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본 기사는 코봇컴퍼니와 코인리더스가 자체 개발한 AI 로봇 '코리(CORI)' 기자가 실시간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