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칼럼] 가상화폐의 건전한 투자가 가능할까?

투자자가 되기 위한 준비

Supercoin | 기사입력 2018/04/24 [15:52]

[칼럼] 가상화폐의 건전한 투자가 가능할까?

투자자가 되기 위한 준비
Supercoin | 입력 : 2018/04/24 [15:52]

 



 

가상화폐(암호화폐)가 요즘 국내에서 매우 소란스럽다. 그 이유를 잘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함께 고민 하는 게 현실적이지 않을까 싶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상화폐와 관련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첫 번째, 비트코인의 가치 

 

많은 사람들이 화폐가 아니지 않냐? 내재가치가 없지 않냐 등 수 많은 질문을 던진다. 그렇다면, 화폐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모두 화폐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되는가 하는 물음이 생긴다.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 그는 신용 있는 정부에서 발행하는 화폐에 우리의 자산을 맡겨도 되는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한 모양이다. 베네수엘라와 같이 정부가 디폴트 위기에 빠지면 정부화폐는 가치가 하락하여 단순 종이가 될 수도 있다. 그렇다고 금을 사두기도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의 해결책이 비트코인일 것이다, 비트코인의 가치는 2013년 사이프러스 위기와 2015년 그리스 위기 때 자산을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 되며 그 가치를 인정 받기 시작했다이미 해외에서 가치를 인정 받았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에서는 비트코인이 화폐인지 내재가치가 무엇인지 학술적으로 따지는지 이유를 알 수 없다.

 

두 번째, 블록체인과 가상화폐거래소에 대한 오해와 진실

 

블록체인은 공개장부라고 불리운다. 블록체인을 사용하면 계약서, 인증서 등 개인들끼리만 보관하던 방식을 참여자 모두 공유하여 조작이나 위조를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상식을 뒤엎는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평가되고 있는 이유이다. 개인간 계약서나 문서를 금고에 따로 보관 하던 철통보안에 대한 역발상인 것이다그렇다면, 블록체인과 가상화폐거래와는 어떤 관계인 것인가? 블록체인 기술은 코인(Cryptocurrency)을 만드는 핵심 기술이다. 만들어진 코인은 거래(Transaction)를 통해 이동이 되며, 채굴(Mining)단계를 거쳐 블록이 생성되고 모든 참여자에게 공유가 되어 지는 것이다. , 블록체인 기술로 만들어진 가상통화를 거래소에서 사고 파는 것이다. 거래소는 블록체인기술을 발전시켜 주는 터전인 것이다.

 

세 번째, 가상화폐거래소가 꼭 필요한가?

 

위에서 말한 거래(Transaction)는 필수 단계이다. 가치 있는 가상통화는 거래가 많이 일어날 것이며, 반대인 경우 거의 없을 것이다. 거래에 따라 채굴자들의 참여도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채굴자는 블록을 만들고 그 대가로 코인을 받는다. 거래소란, 이런 통화를 사고 팔고 싶은 사람들을연계 시켜주고 수수료를 받는 곳이다. 당연히 가상화폐는 개인 간 거래도 가능하다. 그러나 사기의 위험성이 높고 유동성과 편의성 등의 이유로 인해 투자자들이 거래소를 이용하는 것이다. 거래소들은 사설이다 보니 문제가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런 거래소들을 관리하기 위해 한국가상화폐거래소 협회와 같은 단체가 생겨나는 것이다.

 

네 번째, 건전한 투자는 가능한가?

 

경제학자들이 투자와 투기는 내로남불이라고 한다. 거의 구분이 어렵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광풍이니, 투기니, 사기니 말들이 많다. 그래서 정부는 거래소를 폐쇄하겠다고 선언도 했다. 이 산업을 단편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아닌가 우려스럽다.

 

어떤 투자를 할 때 투자자는 기본적으로 공부를 하여야 된다. 왜냐면,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이 리스크(High Risk), 하이 리턴(High Return)은 투자자들을 투기로 만드는 문장이 아닌가 싶다.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코인들은 그냥 이름 짓고 상장되는 게 아니다. 블록체인의 기술을 담고 세상을 바꾸려는 시도와 가치를 가지고 만들어진 산출물인 것이다. 따라서, 의도와 쓰임새 그리고 대중의 반응에 따라 옥석도 가려진다. 세상에는 1500여종 이상(코인마켓캡 기준)의 코인들이 존재하며 지금도 계속 생성되고 있다. 이런 코인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투자자들도 코인의 가치를 구분할 줄 알아야 된다. 건전한 투자정보가 제공되야 되며 가짜뉴스 등을 분별할 줄 도 알아야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정부 또한 건전한 투자가 정착 될 수 있도록 대안을 만들고 규제나 언론 발표를 해 나가야 된다. 자극적인 내용으로 시세 조정을 하려 들면 안 된다. 이런 투자자와 정부가 만드는 환경에 따라 나쁜 거래소나 사기꾼들을 자연적으로 없애게 될 것이며 건전한 투자의 생태계를 만들게 될 것이다.

 

가상화폐의 열풍은 전 국민들이 가상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해 이해를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 나라가 가상화폐의 메카가 되어 가는 과정 중인 것이다. 대기업과 비교는 안 되겠지만, 현재 4차산업 중 구직자를 가장 많이 채용하고 있는 곳이 어디인가? 시스템, 보안등 발전을 위해 투자를 하고 있는 곳이 어딘가? 민간 주도로 청년실업을 해결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해외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곳이 어디인가? 정부는 단순한 논리로 자생적으로 커가는 미래산업의 성장 원동력을 죽이기 보다는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일본, 미국, 영국등 금융선진국의 규제를 참고하여 더 발전되어 세상을 주도하는 국가를 만드는 데 힘을 쏟아야 될 것이다.

 

글. 이철이 <Bitor Group 대표>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리플 CEO, X에 트럼프와 찍은 사진 게시...XRP 가격 반등하나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