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market cap)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지표인데, 실제 부도덕한 개발자들이 그들의 크립토 토큰을 실제보다 더 가치 있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결점에도 불구하고, 시가총액은 암호화폐 이코노미(cryptocurrency economy) 내에서, 특히 생태계를 들여다 보길 원하는 외부인들에게는, 자산 순위를 매기는 가장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남아 있다.
이와 관려해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인 리플(Ripple, XRP)의 공개된 시가총액과 유통량 등의 데이터가 크게 부풀려져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현지시간) CCN, 코인데스크 등 주요 암호화폐 전문매체는 크립토 리서치 회사 메사르(Messar)의 통계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메사르에 따르면 리플(XRP)의 유통시가총액circulation market value) 은 69억 달러로, 비트코인(BTC, 629억 달러), 이더리움(ETH, 122억 달러)에 이어 암호화폐 시장에서 세번째로 나타났다.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500개 웹사이트(알렉사 기준) 중 하나인 코인마켓캡 자료에 따르면 25일(한국시간) 현재 글로벌 리플(XRP)의 시가총액은 130억 달러로, 이더리움의 123억 달러보다 7억달러 가량 많은 시총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인기있는 암호화폐 관련 마켓 데이터 제공 사이트 코인게코(CoinGecko) 자료에도 이날 현재 리플의 시총은 약 130억을 기록 중이다.
이같은 시총 데이터 불일치에 대해 메사리는 "리플(XRP) 발행사인 리플(Ripple)사가 리플(XRP) 데이터 API를 통해 정확한 시장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메사리는 리플이 보유하고 있는 590억 개의 리플(대부분은 에스크로에서 보유되지만 일부는 제한된 판매가 가능함) 외에 수십억 개의 리플이 다른 개인이나 기관에 배포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총 61억 달러 상당의 192억개의 리플(XRP)이 리플의 유통공급(ripple’s circulating supply)에 부정확하게 포함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메사리는 리플에 대해 '거래량 기반 판매 방법(volume-based selling methodology)'과 '시간 경과에 따른 계약상 거래량 기반 판매 한도(contractual volume-based selling limitations over time)'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메사리는 "이는 투자자들이 업계 최대 자산 중 하나인 리플(XRP)의 인플레이션과 매도압력 등 전체적인 상황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이를 통해 소비자를 보호하고 공정하고 효율적인 암호화폐 시장을 지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메사리의 주장에 대해 리플(Ripple) 대변인은 "메사리의 보고서는 여러 '부정확한 가정(Inaccurate Assumptions)'과 '잘못된 시가총액 계산(incorrect calculation of market cap)'에 기초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