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소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의 내년 세계 경제 전망에 따르면 애나 웡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물가상승률이 서서히 하락해 내년 말에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5%, 근원 CPI는 3.8%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연준이 기준 금리를 내년 1분기에 5%까지 올리고 연말까지 이 수준을 유지한 뒤 2024년 1분기에 마침내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관측했다.
지난 14일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했다. 미국 기준금리는 4.25∼4.50%로 15년 만에 최고 수준이 됐다.
그간 연준의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 경기후퇴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팽배한 상황이다.
웡 이코노미스트는 경기후퇴가 온다면 내년 3분기가 될 것이며, 내년 2분기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9% 감소하고 실업률은 4.5%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내년 경기후퇴가 정해진 결론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여러 조건이 갖춰진다면 이를 피해 미국 경제가 연착륙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국의 '위드 코로나' 과정에서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수요가 감소해 원자재 가격이 내려간다면 미국 물가상승률도 급격히 하락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 경우 현재로서는 예상하기 힘든, 내년 연준의 금리 인하 시나리오로 이어질 수 있다.
경기후퇴 자체가 변수가 될 수도 있다.
경기후퇴 정도가 너무 심하면 연준이 대내외 압박에 못 이겨 결국 금리를 인하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의 '제로 코로나' 중단이 내년 중국 경제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미지수인 상황에서 BI는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이 내년 중반까지 완료된다면 5%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월가 투자은행(IB) JP모건체이스는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을 4%로 예상하면서 만약 위드 코로나가 잘 준비된 상태에서 질서 있게 이뤄진다면 최고 5.3% 성장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영국 IB 바클리스를 포함한 많은 금융기관은 중국의 내년 성장률이 4%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여러 관측이 나오고 있다.
창 수 블룸버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내년 3분기까지 위드 코로나로의 전환이 이뤄지면 중국 경제 성장률이 5.1%, 1분기까지 이 목표가 달성되면 6.3%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중국의 높은 경제 성장률은 미국 등 다른 국가에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창 수 이코노미스트는 "전 세계 국가들에 중국의 높은 성장률은 원자재 가격을 높이면서 (호재와 악재가 뒤섞인) '혼합된 축복'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