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공식 성명을 통해 "최근 블록체인 기술 홍보 확산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활동이 국내에서 부활 징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CSRC는 "일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은 국내 거주자에게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암호화폐 무이자 대출 확산 등 디지털 화폐 관련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개인 또는 기업 모두 암호화폐 판매와 거래, 투자는 불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관할 구역 내 금융당국, 통신관리·공공보안 부서는 계속해서 암호화폐 거래, ICO 및 유사 ICO 행위에 대한 금지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 현장 조사와 웹사이트 페쇄, 형사 입건 조치를 취해야 한다"면서 리스크 대응을 위해 베이징 등에서 이뤄지는 암호화폐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근 중국은 블록체인 활성화 방침을 유지하면서도 암호화폐 단속은 점차 강화하는 추세다. 블록체인 산업 육성 분위기를 틈탄 암호화폐 사기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선전, 상하이 등 대도시 중심으로 암호화폐 관련 대대적인 단속에 들어갔다. 특히 암호화폐 거래소를 포함한 암호화폐 업계를 겨냥해 집중 조사를 벌이고 있다.
중점 조사 대상으로는 ▲중국 내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업체 및 암호화폐 거래소 ▲중국 국경 외 암호화폐 거래소의 서비스 채널 ▲암호화폐 구매 대행 등 서비스 업체 ▲토큰 판매 업체 ▲암호화폐 구매 목적 투자 자금 조달 업체 ▲암호화폐 투자 업체 등이 포함됐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는 지난달 4일 칼럼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에는 암호화폐가 수반되지만 블록체인 기술 혁신이 암호화폐 투기와 같은 것은 아니다"라며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산 보관, 불법 정보 전파, 불법 거래, 자금세탁 등은 반드시 엄격히 통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인터넷금융협회(中国互联网金融协会)는 지난 13일 공식 채널을 통해 "회원사들은 중국 현지 법률을 엄격히 준수, 불법 금융 활동, ICO, 암호화폐 시장 조작 등 암호화폐 관련 불법 행위에 가담해선 안된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협회 측은 "최근 '블록체인'을 앞세운 암호화폐 시세조작, ICO 등 불법 행위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 같은 불법 행위에 휘말리지 않도록 신중하게 투자 여부를 판단해야 하며, 맹목적인 '유행 따르기' 등을 경계해 스스로의 자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