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G20 자문기구,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규제' 관련 권고사항 발표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0/04/16 [17:20]

G20 자문기구,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규제' 관련 권고사항 발표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0/04/16 [17:20]


선진 20개국을 회원으로 둔 국제기구(G20)의 자문기구가 스테이블코인 규제 접근방안과 관련된 권고사항을 발표했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G20 자문기구인 금융안정위원회(FSB)는 각국 규제당국에게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금융 안정성을 저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규제방안을 재검토하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 당부했다.

 

최근 금융안정위원회는 공공 협의를 위한 자문 보고서를 통해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 활동이 기존 규제체계 안에서 다뤄지고 있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자문기구는 "스테이블코인에서 사용되는 기술과 매커니즘이 대규모 운영 상황에서 검증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직 나타나지 않은 취약점들이 대중화 단계에서 드러날 수 있다"면서 "대규모 자금이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으로 이동해야 높은 거래량과 더 광범위한 금융 시스템을 지탱할 수 있는지 인프라 역량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위원회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에서 운영 상 차질이 발생할 경우 실제 경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스테이블코인 운영 기업들이 리스크관리 능력, 운영 탄력성, 사이버 공격에 대한 안전장치, 자금세탁방지/테러자금조달방지(AML/CFT) 시스템 등을 확보해야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가 규제당국이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자산 분야를 면밀히 감독해 잠재적인 취약점이나 규제 허점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규제 권한을 명확히하고, 현지 규제체계 간 격차를 줄여갈 것"을 강조했다.

 

금융안정위원회는 "스테이블코인이 국경을 초월해 작동하기 때문에 국제적인 협력도 필요하다"면서 "국가들이 서로 스테이블코인 규제방안을 논의해 규제 일관성을 높이고, 지역 및 국경 간 규제차익을 줄여야 한다"고 전했다.

 

위원회는 해당 보고서에 대한 각국 규제기관,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구(IMF), 국제결제은행(BIS) 등 68개 회원기관의 피드백을 요청하고 있다. 공개 협의기간은 오는 7월 15일까지이며, 최종 보고서는 오는 10월 이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