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더블록 보도에 따르면 이 같은 분쟁은 현재 조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엑시오스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분쟁은 주주들에 대한 파일코인 토큰 분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프로토콜랩스는 IPFS(분산형 파일시스템) 및 파일코인(Filecoin) 창시자인 후안 배넷이 지난 2014년 5월에 설립했다. 기업은 일련의 시드머니 조달을 마치고, 지난 2017년 암호화폐공개(ICO)를 진행해 2억5700만달러(약 3036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모았다. 이 과정에는 일부 지분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보고서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토큰의 상당량이 파일코인 CEO 후안 베넷과 초창기 멤버들에게 1센트도 안되는 금액에 일방적으로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후 수년간 이같은 유통을 계속해왔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소식통들은 해당 토큰이 주주들에게는 배분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투자자는 해당 사안에 대해 "후안 CEO가 악의적으로 행동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그는 해당 프로젝트를 진정으로 성공시키고 싶어했지만 젊고 순진했다"고 말했다.
현재 분쟁을 조정하기 위한 절차가 시작됐으며, 투자자들은 파일코인을 일정 부분 받는 선에서 조정을 수용할 전망이다. 다만 모든 지분 투자자들이 해당 조정 내용에 대해 수용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프로토콜랩스는 해당 사안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
이 같은 투자자들과의 분쟁은 파일코인 프로젝트 공개가 미뤄지는 요인으로 일부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월 말 발표된 로드맵에 따르면 파일코인 메인넷의 론칭 시기는 최대 9월 21일까지 미뤄졌다.
한편, 세계적인 보안 소프트웨어 '맥아피' 창업자인 존 맥아피(John McAfee)는 프라이버시 토큰 프로젝트 '고스트(Ghost)'를 포기한다고 발표했다.
19일(현지시간) 존 맥아피는 본인 트위터를 통해 "고스트 프로젝트를 포기할 것이다. 고스트 운영팀은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능력이 없다"며 "(고스트팀 운영진에) 경영의 근본 원리를 설명하려 했지만 묵살당했다. 그동안 내가 잘못된 길로 이끌었던 사람들에 대해 사과한다"고 말했다.
앞서 맥아피는 프라이버시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비트코인에 대해 비판해왔다. 이후 맥아피는 지난 4월 프라이버시에 초점을 맞춘 지분증명(PoS) 기반의 새로운 암호화폐 '고스트'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지난 5월 PIVX팀은 고스트가 PIVX의 2018년 백서를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했고, 이에 대해 그는 "고스트팀이 PIVX의 백서의 일부분을 복사·붙여넣기한 것은 맞다"고 표절 사실을 인정했다.
다만 고스트팀은 맥아피의 프로젝트 포기 선언과 별개로 고스트 프로젝트를 계속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고스트팀 관계자는 "고스트는 오픈소스 분산형 프로젝트"라며 "맥아피는 고스트의 개발 작업이나 특정 기술이나 빌드업에도 관여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