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코인 빅데이터] 머지 불씨 되살아나나...이더리움(ETH) vs 이더리움클래식(ETC) 트렌드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2/09/08 [16:15]

[코인 빅데이터] 머지 불씨 되살아나나...이더리움(ETH) vs 이더리움클래식(ETC) 트렌드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2/09/08 [16:15]

 

머지 업그레이드 일정이 가까워지면서 간밤 알트코인 대장주 이더리움(Ethereum, ETH)의 시세가 1,600달러 선을 회복했다. 더불어 이더리움에서 하드포크된 가상자산 이더리움클래식(Ethereum Classic, ETC)에 대한 인기도 사그라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현재 이더리움과 이더리움클래식에 대한 대중의 생각은 어떨까?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와 함께 확인해 보자.

 

▲ 출처: 썸트렌드


이더리움 vs 이더리움클래식, 언급량 추이는?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일주일간 이더리움은 3,000회, 이더리움클래식은 142회 언급됐다. 지난 일주일 중 이더리움의 언급량이 급증한 9월 4일, 암호화폐 투자펀드 코인셰어스(Coin Shares)의 최고전략책임자(CSO)인 멜텀 드미러스(Meltem Demirors)는 머지 업데이트 후에도 이더리움의 시세가 상승세를 기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했다.

 

※ 관련 기사: 코인셰어스 CSO "美증시, 올해 10월 안에 바닥 찍을 것"..."이더리움, 머지로 가격 상승하지 않을 것"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 출처: 썸트렌드


이더리움 vs 이더리움클래식, 이미지와 주요 감성어는?

이더리움의 이미지는 긍정 35%, 부정 57%, 중립 8%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웃다’와 ‘성공적’, ‘무료’, ‘만족’, ‘보상’, ‘서비스 새롭다’, ‘강세’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멀다’와 ‘떠들다’, ‘매수하다’, ‘우려하다’, ‘시끄럽다’, ‘혼란’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급등하다’와 ‘가능하다’가 있다.

 

이더리움클래식의 이미지는 긍정 39%, 부정 43%, 중립 18%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감성어 중, 긍정적인 표현은 ‘성공적’, ‘강세’, ‘이익 얻다’, ‘안정적’, ‘정상적’, ‘지지하다’, ‘감사하다’, ‘주목 받다’ 등이 있다. 부정적인 표현은 ‘멀다’와 ‘매수하다’, ‘폭락’, ‘위험’, ‘폭등하다’ 등이 있으며, 중립적인 표현은 ‘급등하다’ 단 하나이다.

 

이더리움·이더리움클래식 관련 주요 이슈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9월 7일(현지 시각),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리도(Lido)의 스테이킹된 이더리움(stETH)과 이더리움 시세 격차가 4.5%를 기록하며, 6월 이후 가장 큰 격차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데피안스 캐피털(Defiance Capital) 소속 애널리스트 CK 청(CK Cheung)은 stETH의 시세 인하의 부분적인 원인으로 투자자가 이더리움의 하드포크 토큰 ETHPOW를 잃을 우려를 언급했다.

 

매체는 9월 6일(현지 시각), 다른 기사를 통해 암호화폐 채굴 업계가 머지 전환 이후를 대비하면서 이더리움클래식의 해시레이트가 급등했다고 전했다.

 

9월 6일 기준 이더리움클래식의 해시레이트는 48.64TH/s로, 7월 대비 133% 급등했다. 이 날 이더리움클래식의 시세는 전일 대비 28% 상승했다.

 

블록체인 전문 뉴스 웹사이트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코인게코(CoinGecko) 공동 창립자 바비 옹(Bobby Ong)이 이더리움의 머지 업그레이드 후 작업증명(PoW) 방식을 채택하는 이더리움클래식의 시세가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했다.

 

그는 “다수 시장과 프로토콜이 머지 전후로 변동성과 혼란, 복잡함을 겪을 것이다. 이더리움의 작업증명 기반 하드포크 자산 하나 이상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더리움·이더리움클래식, 오늘의 시세는?

9월 8일 오후 3시 44분 코인마켓캡 기준 이더리움의 시세는 전일 대비 7.11% 상승한 1,627.89달러이며, 이더리움클래식의 시세는 9.06% 상승한 37.08달러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IXO 2025] 안유화 원장 "스테이블코인과 비트코인, 미국 국채 대안으로 부상"
이전
1/5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