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ECB 자이언트스텝 단행...라가르드 "내년 경기침체, 몇차례 기준금리 더욱 인상"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9/09 [07:16]

ECB 자이언트스텝 단행...라가르드 "내년 경기침체, 몇차례 기준금리 더욱 인상"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2/09/09 [07:16]

 

유럽중앙은행(ECB)이 8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에서 1.25%로 0.75%포인트(P) 깜짝 인상했다.

 

지난 7월 11년 만에 '빅스텝'(0.5%P 인상)으로 기준금리를 처음 인상하며 금리 정상화를 향한 여정을 시작한 이후 이번 달에는 2002년 유로화 도입 이후 사상 첫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으로 물가 대응 속도를 높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 급등으로 유로존(유로화사용 19개국)의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9%를 넘어서면서 ECB의 결단을 불러왔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1.25%로, 수신금리와 한계대출금리 역시 각각 0.75%와 1.5%로 0.75%P씩 올리기로 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오늘 실제로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기로 결정했다"면서 "물가상승률이 중기목표치인 2%로 복귀하기에는 기준금리 수준이 한참 떨어져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유로존 경제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러시아가 유로존에 가스 공급을 완전히 중단할 경우 역성장해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러시아 국영 가스 회사 가스프롬은 이미 지난 2일(현지시간) 발트해 해저를 통해 독일 등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가스관인 노르트스트림-1가스관을 통한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방향에서 "이번 주요한 진전은 현재 크게 완화적인 정책금리 수준을 물가상승률이 중기 목표치인 2% 수준으로 때맞춰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전환의 초기 단계"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은 수준에 머물고, 예상보다 긴 기간 목표치인 2%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데 따른 결정으로, 앞으로도 추가적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9.1% 뛰어 1997년 관련 통계 집계 개시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프랑스나 독일 등은 6∼8% 상승하는 데 그쳤지만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등 발트 3국에서는 20% 넘게 치솟았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비트코인 연금술사' 마이클 세일러, 포브스 표지모델 됐다...시장 거품 정점 신호?
이전
1/3
다음
광고
Tech Economy 많이 본 기사